2009. 3. 24. 22:06ㆍ게시판
제사 지내는 순서
♧. 제사 지내는 법
제사 지내는 방법은 문중에 따라 지방에 따라 각각 다릅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조상님이 살아 계실 때 반주와 식사 공양할 때와 같습니다. 1년에 한 번 조상과 만나는 반가움과 정성을 들이면 절차상의 약간의 차이를 극복하고 가족의 화목을 유지하고 가문 번성에 도움이 됩니다.
①. 다 준비해 놓고
(진설)
②. 어서 오십시오. 인사하고(조상 모심)
(분향, 강신)
③. 문안인사 드립니다.
(참신)
④. 약주를 올리고, 오늘 음식 공양의 연유에 대한 말씀도 올립니다.
(첫 잔 드림, 조상님께 보고 드림, 둘째 잔 드림, 끝 잔 드림)
(초헌, 독축, 아헌, 종헌)
⑤. 식사를 대접하고(식사 권유)
(유식)
⑥. 물을 올리고 (숭늉 드림)
(헌다)
⑦. 안녕히 가십시오. 하고 인사를 하면 되는 것이다.
(작별인사)
(사신, 음복)
1. 진설(상차리기):
제사상에 음식을 차린다. 지방 혹은 사진을 모신다.
2. 분향 강신(조상님 모시기):
조상님께서 오시기를 청하는 절차이다. 모든 참석자는 제사상 앞에 선다. 제주(아들)가 제사상 앞 중앙 향로 앞에 꿇어 앉아 향(3개)을 피워 향로에 꽂은 후 제주만 두 번 절한다.(향로에는 쌀을 넣기도 한며, 향 피운 후 절은 생략하기도 한다)
제주가 다시 꿇어앉고 다른 사람이 상 위의 술잔(빈잔) 혹은 별도의 술잔을 제주에게 주고(잔 받침대까지)
술을 조금(30% 정도) 따라주면 향 위를 거쳐 모사에 조금씩 세 번 기울여 다 붓는다.
(왼손으로 잔대를 잡고, 오른손으로 잔을 잡고) 상위의 잔으로 했으면 그 빈 잔을 집사를 통해 원 위치로 돌려보내고 다시 제주만 두 번 절을 한다.
3. 참 신 (조상님께 문안 인사 드리기):
조상님이 오셨으므로 조상님께 인사드리는 절차이다.
제주 및 참석자 전원이 절한다(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남녀 구분 없이 두 번 절을 하는 경우가 많음)
4. 진 찬:
따뜻한 음식인 메(밥) 갱(국) 고기 생선 국수 등을 올리는 절차인데 요즘 다 차려 놓고 시작하는 가정에서는 생략한다.
5. 초헌(첫 잔 올리기):
맨 처음 술잔을 올리는 절차이다. 제주(초헌관)가 다시 제사상 앞에 꿇어앉는다. 집사가 잔(잔 받침대까지)을 주고, 술을 가득 부어주어서 제주에게 건넌다.
제주가 받아서 술잔을 어느 정도 올리면
집사가 받아서 신위 앞에(상 위에)올린다.
(두 분 제사를 한 상에 지낼 때에는 같은 방법으로 여자 조상님 잔도 올린다)
제주는 두 번 절한 후 물러난다.
집사들은 술잔을 퇴주 그릇에 비운 후 다시 그 자리(상 위에, 신위 앞에)에 놓는다.
6. 독축(축문읽기):
참석자 일동 꿇어앉고 집사 등 축관이나 제주가 축문을 읽는다. 다 읽고 나면 제주는 두 번 절한다.
(전원이 절하는 가문도 있다) 요즘은 이웃집 등을 고려하여 축문 읽는 것은 생략하는 가정이 많다.
7. 아헌(두 번 째잔 올리기):
아헌관이(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사람) 제사상 앞에 꿇어앉는다. 나머지 방법은 초헌 때와 같이 한다.
8. 종헌(끝잔 올리기):
종헌관이(세 번째로 술잔을 올리는 사람)제사상 앞에 꿇어앉는다. 이 때 에는 잔에 술을 70% 정도만 채워서 올린다.
나머지 방법은 초헌 때와 같이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천지인의 3을 이 세상의 모든 것이라는 뜻으로 해석해 왔다. 따라서 조상님에게 술을 올리는데도 3잔을 올림으로서 완전히 올렸다는 뜻이 되는 것이다.)
9. 첨작(술 더 드리기):
조금 더 드시기를 청하는 절차이다.
다시 제주(초헌관)가 제사상 앞에 꿇어앉는다.
집사가 다른 빈 잔(혹은 메 뚜껑)을 주고, 술을 조금 따라 주면 다른 집사가 그 잔을 받아 종헌 때 덜 채웠던 잔에 조금씩 세 번 따라 가득 차도록 붓는다.
첨작자(제주)는 두 번절(재배)하고 물러난다.
사례1: 첨작자(제주)가 술 주전자로 바로 상위의 잔에 세 번씩 따라 가득 채우기도 한다.
사례2: 초헌, 아헌, 종헌 때처럼, 상 위의 잔을 받아 잔에 가득 채워 올리기도 한다.
사례3: 덜 채워지더라도 한번만 조금 따르는 가문도 있다.
사례4: 첨작 후에는 절을 안 하고, 삽시 정저까지 한 다음에 절하는 가문도 많다.
10. 삽시 정저
(숟가락, 젓가락 놓기):
집사들이(혹은 주부가) 밥그릇 뚜껑을 열어 밥그릇 옆에(상 바닥에) 내려놓는다. 집사들이(혹은 제주나 주부가) 숟가락을 밥 가운데에 꽂는다.
이때 숟가락의 안쪽이(패인 부분) 사람이 봐서 오른쪽으로 향하게 한다.
(다른 방향으로 꽂는 가정도 있다)
집사들이(혹은 제주나 주부가) 젓가락을 세워 상 바닥에(또는 수저 접시에) 똑똑똑 세 번 가지런히 한 후 젓가락 끝(가는 쪽)이 사람이 봐서 오른쪽을 향하도록 하여 고기 생선 등 음식위에 올려놓는다.
사례1: 다른 방향으로 놓는 가정도 있다.
사례2: 음식 위에 올리지 않고 그냥 시접에 가지런히 놓는 가문도 있다.
사례3: 손잡이 쪽 끝이 상 바닥에 닿게 시접에 걸쳐놓는 가정도 있다.
사례4: 삽시정저를 초헌 때, 술잔 올린 후 제주가 절하기 전에 하는 가정도 있다.
11. 합 문:
신위께서 음식을 드시도록 방문을 닫고 나오는 것을 말하며, 근래에는 제사상 앞에서 몇 분 정도 조용히(묵념하고) 기다린다.
(뒤로 돌아 꿇어 앉아, 뒤로 돌아 서서, 마루, 다른 방 등에서 아홉 숟가락 드시는 시간 정도 기다린다)
12. 계 문:
문을 열고 들어가는 것을 말하며, 새벽 첫 닭이 울 무렵에 제주(혹은 축관, 집사)가 앞에 서서 기침을 세 번하고 일동을 데리고 들어간다. 요즘은 몇 분후 들어간다.
13. 헌다(숭늉 올리기):
갱(국)을 내리고 그 자리에 숭늉을 올린다.
메(밥)를 조금씩 세 번 떠서 숭늉에 말아 놓고
숟가락도 그대로 숭늉 그릇에 담가 놓는다.
(숟가락 손잡이는 왼쪽을 향하게 한다. 메 그릇에 걸치게 놓는 가정도 있다)
참석자 모두 잠시 고개를 숙이고 기다린다.
14. 철시복(합)반:
(수저, 젓가락 거두기)
수저 젓가락을 거두어 시저 접시에 놓는다. 메(밥) 그릇을 덮는다. 하시 합 반개(下匙 闔飯蓋)라고도 한다.
15. 사 신
(조상님께 작별 인사드리기):
제사를 다 끝 마쳤으므로 안녕히 가시라고 인사하는 절차이다. 모두 다 절한다.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요즘은 여자도 두 번만 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제사 지낼 때 다 같이 절하는 것은 2회 뿐이나,
가문 지방에 따라서는 술잔 올릴 때마다 다 같이 절하기도 한다)
16. 분 축:
축문과 지방을 불사른다. 요즘은 생략하기도 한다.
17. 철상:
제사상을(음식) 치우고 식사 준비를 한다.(뒤에서부터 치우기도 한다)
18. 음복(식사):
조상께서 주시는 복된 음식이란 뜻으로 온 가족이 모여 시식(식사)을 하며 친척 및 이웃 어른께 대접하기도 한다.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기독교와 조상제사 (0) | 2009.03.30 |
---|---|
[스크랩] 제사 축문 쓸 때 간지 쓰는 법 (0) | 2009.03.24 |
[스크랩] 제사 축문 예문 (0) | 2009.03.24 |
[스크랩] 제사상에 올리면 안 되는 음식 (0) | 2009.03.24 |
[스크랩] 혈통과 계보에 따른 세(世)와 대(代)의 구분 방법 (0) | 2009.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