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열전
[스크랩] 화가 전충효[ 全忠孝 ]
한강의 언덕
2016. 10. 11. 07:44
전충효. 괴석초충도 怪石草蟲圖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전충효. 국화와 벌레. 17세기, 흑견금니, 18.5 x 26cm, 간송미술관 소장.
전충효[ 全忠孝 ]
이칭별칭
호 묵호(墨豪)
유형 인물
시대 조선
성격 화가
성별 남
저서(작품) 괴석초충도, 묵매도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화가.
개설
호는 묵호(墨豪). 출신배경이나 생애에 대하여 알려져 있지 않다. 특히, 영모(翎毛)와 절지(折枝)에 능하였다고 한다.
그의 유작 중에서 <수작도 水鵲圖>(개인소장)는 조속(趙涑)의 사의적(寫意的)인 수묵화조화풍(水墨花鳥畫風)을 따랐으며, <매도 梅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에서는 힘있는 묵은 가지와 새로 돋은 잔가지가 대조를 이루고 있는 등, 조선 중기 매화도의 전통을 잇고 있다.
이밖에 검은 바탕에 금니(金泥)로 그린 <괴석초충도 怪石草蟲圖>(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묵매도>(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폭 등이 전한다.
참고문헌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한국회화대관』(류복렬 편, 문교원, 1969)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전충효 [全忠孝]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충효. 국화와 벌레. 17세기, 흑견금니, 18.5 x 26cm, 간송미술관 소장.
출처 : 전씨(全氏) 광장
글쓴이 : 全科雄 (55세/정선)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