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6. 19. 10:21ㆍ 인물열전
전제(全霽)
[무과] 선조(宣祖) 24년(1591) 신묘(辛卯) 별시(別試) 을과(乙科) 30위(31/300)
[인물요약]
자 시적(時適)(주1) 자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창의록』 [한古朝57-가130] 47쪽에 전제의 자는 시적(時適), 무오년생, 초계 거주라고 기록된 것을 참고로 자 시숙(時叔)을 시적(時適)으로 고침.
호 영수(英叟)
생년 무오(戊午) 1558년(명종 13)
합격연령 34세
본관 전주(全州)(주2) 본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용사세강록(龍蛇世講錄)』 [한古朝57-가289] 1권 96쪽에 전제의 호는 영수(英叟)이며 완산인(完山人)이라 기록됨. 이를 참고로 호와 본관 추가.
거주지 초계(草溪)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300명
전력 교생(校生)
[가족사항]
[부]
성명 : 전경원(全慶遠)
[주 1] 자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창의록』 [한古朝57-가130] 47쪽에 전제의 자는 시적(時適), 무오년생, 초계 거주라고 기록된 것을 참고로 자 시숙(時叔)을 시적(時適)으로 고침.
[주 2] 본관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용사세강록(龍蛇世講錄)』 [한古朝57-가289] 1권 96쪽에 전제의 호는 영수(英叟)이며 완산인(完山人)이라 기록됨. 이를 참고로 호와 본관 추가.
[출전]
『신묘별시문무과방목(辛卯別試文武科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정보시스템
전제 (1558년)
전제(全霽, 1558년 ~ 1597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정유재란 때 울산성 전투에서 권율에게 처형되었다. 본관은 완산(完山).
생애[편집]
경상남도 초계군 도방리(지금의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하신리) 출신. 전(全)씨의 도시조이자 백제의 개국공신인 전섭(全攝)의 후손이고, 완산군(完山君, 시호는 충정(忠貞)) 전집(全潗)의 10대손이며, 완산전씨 초계(草溪) 입향조인 수찬 전하민(全夏民)의 6대손이다. [1] 아버지는 전경원(全慶遠) 또는 전덕원(全德遠)이다. [2] 자는 시적(時適) 또는 시숙(時叔)이고, 호는 영수(英叟)이다. [3]
당숙인 탁계(濯溪) 전치원(全致遠)과 설학(雪壑) 이대기(李大期)를 사사하였다.
교생(校生)으로 1591년 별시 무과에 을과 30위로 급제하였다. [4]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 그해 5월 당숙 전치원(全致遠)과 재종형 전우(全雨), 서재종제 전문(全雯) 등과 함께 초계에서 조호장(調護將)으로 거병, 6월부터 9월까지 낙동강변, 황강, 성주, 창녕, 현풍 등지에서 왜군과 교전하여 전공을 세웠다. [5] 그 후 곽재우 휘하에 조전장(助戰將)으로 종군하였다. 1596년 3월에는 대구 팔공산에서 결사구국을 회맹하였다. 이후 1597년경에 경상도 영산현감으로 부임했다. 1597년 정유재란이 발발하자 그해 7월 21일 영산현감으로 경상좌도방어사 곽재우의 휘하에서 조전장(助戰將)으로 화왕산성에 입성하여 성을 지켰다. 또한 12월에는 영산현감으로 권율의 휘하로 울산성 전투에 출전하여 종군하던 중 논죄되어 12월 26일에 출신(出身)[6] 1인, 군정(軍丁) 1명과 함께 처형되었다.[7]
사후[편집]
사후 배대유(裵大維)가 신원 상소를 올렸고,[8] 1692년 합천 도계서원(道溪書院)에 재종형 전우(全雨), 재종질 전영(全榮)과 함께 배향되었다.[9] 1880년 호조참판에 증직되었다. 그는 훗날 대한민국 대통령이 된 전두환(全斗煥)의 13대조가 된다.
저서로 《영수실기 英叟實記》[10] 가 있다.
가계[11][편집]
전제는 완산(전주) 전씨 군수공파 이고, 군수공파의 파조는 전제의 고조부인 전수문이 된다.
조부 : 전순(全純) 부친 : 전경원(全慶遠, 이명 전덕원(全德遠), 1524년 ~ 몰년 미상, 승사랑별시)
모친 : 합천 이씨(陜川李氏) 아들 : 전세준(全世俊)
같이 보기[편집]
전두환 - 13대손(1931년 ~ , 전 대통령)
각주[편집]
1. 수찬(修撰)에 재직하다가 1531년에 경주에서 초계군 이책면 하신리(지금의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하신리)로 이거해왔다고 한다.
2. 무과방목상에는 전덕원(全德遠)이라고 기재되어있다.
3. 조선왕조실록에는 全悌라고 표기되어있다. - 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선조 31년 1월 6일 기사 제독 접반사 장운익이 전투 상황을 상세히 보고하다,
4.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무과방목,
5. 남명학고문헌시스템,
6. <역사> 조선 시대에, 과거의 무과에 급제하고 아직 벼슬에 나서지 못한 사람,
7. 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선조 31년 1월 6일 기사 제독 접반사 장운익이 전투 상황을 상세히 보고하다,
8. 배대유의 문집인 모정집에 수록된 청영산현감전제신원소(請靈山縣監全霽伸冤疏)
9. 네이버 지식사전,
10.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11. 김은영, 草溪鄕案을 기초로 한 초계지역 유력가문의 연구, 국회도서관, 2010,
출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인물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휴계전공유사서(休溪全公遺事序) [전희철] (0) | 2016.06.25 |
---|---|
[스크랩] 승정원일기 고찰 [전세욱(全世郁)] (0) | 2016.06.21 |
[스크랩] 승정원일기 고찰 [ 전대중(全大重) ] (0) | 2016.06.17 |
[스크랩] 정선전씨 임하군파 족보 수단 자료 제출양식 및 예시[지역종친회 제출용] (0) | 2016.06.15 |
[스크랩] 승정원일기 고찰 [전봉현(全鳳顯)] (0) | 2016.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