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승정원일기 고찰 [ 전익화(全益華) ]

2016. 11. 17. 07:28 인물열전


승정원일기 26책 (탈초본 491숙종 41년 11월 22일 갑인 -1/12 기사 1715년 康熙(/聖祖) 54李光佐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有政兵批以李光佐爲上護軍朴弼明爲司直權尙游爲副司直沈壽賢·黃一夏爲司果丁道復·李深爲副司果崔斗崗·全益華·庾忠績爲副司正(1)

승정원일기 28책 (탈초본 530경종 1년 5월 20일 경진 2/14 기사 1721년 康熙(/聖祖) 60韓斗一 등이 하직함

규장각 원본

○ 下直雲山郡守韓斗一注文島僉使李山龍德績萬戶(2)全益華黃州牧使韓世箕利仁察訪宋國緯遂安郡守金慶衍

(1)부사정副司正 ]

조선시대 오위(五衛)에 둔 종칠품(從七品서반 무관직(武官職)이다위로 오위장(五衛將從二品), 상호군(上護軍正三品), 대호군(大護軍從三品), 호군(護軍正四品), 부호군(副護軍從四品), 사직(司直正五品), 부사직(副司直從五品), 사과(司果正六品), 부장(部將從六品), 부사과(副司果從六品), 사정(司正正七品)이 있고아래로 사맹(司猛正八品), 부사맹(副司猛從八品), 사용(司勇正九品), 부사용(副司勇從九品)이 있었다.

관계(官階상으로는 분순부위(奮順副尉)라고 하였고세종 때 사정(司正)에 대한 섭직(攝職)으로 섭사정(攝司正)이라고 하다가, 1466(세조 12) 관제정비 때 부사정(副司正)으로 고쳐 법제화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부사정 [副司正] (관직명사전, 2011. 1. 7., 한국학중앙연구원)

(2)수군만호水軍萬戶 ]

조선 시대 각도에 설치되었던 수군(水軍제진(諸鎭)의 장()으로 종4품 외직무관(外職武官)이었으며 수군우후(水軍虞侯)의 아래에 해당하였음고려 말에 수군이 재편성되면서 각 도별로 도만호(都萬戶관하에 만호(萬戶)천호(千戶등의 장수가 임명되어 왜구(倭寇)와의 전투에 임()한 바 있는데조선 태종 때에는 만호를 3품으로 하였다가 세종 25(1443)에 34품을 모두 만호라 칭하고각포(各浦)에 둔 제진(諸鎭)을 관장토록 하였음.

[네이버 지식백과수군만호 [水軍萬戶]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 3. 3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덕적도德積島 ]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德積面)에 딸린 섬.

[네이버 지식백과덕적도 [德積島] (두산백과)



전익화(全益華)


[무과숙종(肅宗) 32(1706) 병술(丙戌정시(庭試병과(丙科) 122(130/198)

[인물요약]

 미경(美卿)

생년 병진(丙辰) 1676(숙종 2)

합격연령 31

본관 정선(旌善)

거주지 한성([])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198

전력 통덕랑(通德郞)

시험과목 유엽전 120보 1순 2(柳葉箭百二十步一巡二分)

기추 1차 1(騎蒭一次一中)

2기 취 1(二技取一技)

부모구존 구경하(具慶下)

[가족사항]

[]

성명 전여주(全汝胄)

관직 전첨사(前僉使)

[안항]

성명 전익만(全益萬)

성명 전익창(全益昌)

[안항]

성명 전익민(全益敏)

성명 전익겸(全益謙)

[출전]

숙종32년병술정시별시문무과방목(肅宗三十二年丙戌庭試別試文武科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B13LB-9])

출처 : 전씨(全氏) 광장
글쓴이 : 全科雄 (55세/정선)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