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홀기(笏記) 해문(解文)입니다.

2017. 11. 25. 16:46 인물열전




1.設蔬果酒饌

陳設

(제수를 진설하시오.)


2. 變服序立

獻官以下皆序立

(헌관 이하 모든 제관은 재배 할 정도의 간격으로 서 주십시오.)

σ 행사진행 도우미(staff) 참신

諸執事者 謁者 詣墓前, 鞠躬再拜興平身 復位

(집사자 알자는 묘전 앞에 나아가서, 몸을 굽혀 두 번 절하고 자기자리로 돌아가시오)


3. 行 降神禮 [조상님을 모시는 예()를 행하겠습니다.]

贊引 引初獻官 詣盥洗位

(찬인은 초헌관을 인도하여 세수하는 자리에 나아가 서시오.)

盥洗 帨手

(손을 씻고, 수건으로 손을 닦으시오.)

詣墓前 初獻官 點視陳設 跪 三上香 酹酒灌于墓前

(묘전에 나아가서 초헌관은 진설을 보고 점검하시오. 무릎 꿇고 향을 세 번 올리시오. 묘전에 술을 부으시오.)

初獻官 鞠躬再拜 興平身 復位

(초헌관은 몸을 굽혀 두 번 절을 하고 몸을 바로하고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4. 行 叅神禮 [참신(參神)의 예()를 올리겠습니다.]

獻官以下參神 鞠躬再拜 興平身

(헌관이하 모두 참신하겠습니다. 몸을 굽혀 두 번 절을 하고 몸을 바로하십시오.)


5. 行 初獻禮 [첫 번째 잔을 초헌관(初獻官)이 올리겠습니다.]

初獻官 詣墓前 跪 獻酌

(초헌관은 묘전에 나아가 무릎을 꿇고 잔을 올리시오.)

獻官以下俱跪

(헌관이하 모두 무릎을 꿇으시오)

祝取祝板 跪 獻官之左 讀祝

(축은 축판을 들고 헌관의 왼쪽에 무릎 꿇고 축문을 읽으십시오.)

鞠躬再拜 興平身 復位

(몸을 굽혀 두 번 절을 하고 몸을 바로하고 제자리로 돌아가십시오.)


6. 行 亞獻禮 [두 번째 잔을 아헌관(亞獻官)이 올리겠습니다.]

贊引 引亞獻官 詣盥洗位

(찬인은 아헌관을 인도하여 세수하는 자리에 나아가 서시오.)

盥洗 帨手

(손을 씻고, 수건으로 손을 닦으시오.)

詣墓前 跪 獻酌

(묘전에 나아가 무릎을 꿇고 잔을 올리시오.)

鞠躬再拜 興平身 復位

(몸을 굽혀 두 번 절을 하고 몸을 바로하고 제자리로 돌아가십시오.)


7. 行 終獻禮[세 번째 잔을 종헌관(終獻官)이 올리겠습니다]

贊引  引終獻官 詣盥洗位

(찬인은 종헌관을 인도하여 세수하는 자리에 나아가 서시오.)

盥洗 帨手

(손을 씻고, 수건으로 손을 닦으시오.)

詣墓前 跪 獻酌

(묘전에 나아가 무릎을 꿇고 잔을 올리시오.)

鞠躬再拜 興平身 復位

(몸을 굽혀 두 번 절을 하고 몸을 바로하고 제자리로 돌아가십시오.)


8. 行 侑食禮 [유식례를 행하겠습니다.]

初獻官 詣墓前 跪 獻酌

(초헌관은 묘전에 나아가 무릎을 꿇고 잔을 올리시오.)

添酌

(첨잔하시오.)

鞠躬再拜 興平身 復位

(몸을 굽혀 두 번 절을 하고 몸을 바로하고 제자리로 돌아가십시오.)

獻官以下 退休食頃 平身 復位

(헌관이하 모두는 식사하는 잠시 동안 물러나 기다리고 그 후 제자리로 오시오.)

獻官以下肅竢

(헌관이하 모두 엄숙히 기다리시오.)

祝三稀吟 獻官之右 告利成 復位

(축관은 헛기침을 세 번한 다음 헌관의 오른 쪽에서 이성을 고하고 나서 제 위치로 복귀하시오.)


9. 行 辭神禮 [이제 작별(作別)의 예()를 올리겠습니다.]

獻官以下 鞠躬再拜 興平身

(헌관이하 모두는 몸을 굽혀 두 번 절을 하고 몸을 바로하고 제자리로 돌아가십시오.)

σ 행사진행 도우미(staff) 배례

諸執事者 謁者 詣墓前 鞠躬再拜興平身 復位

(모든 집사자와 알자는 묘전에 나아가 몸을 굽혀 두 번 절하고 일어나시오. 제 위치로 가시오.)


10. 行 飮福禮 [음복(飮福)]

初獻官 詣墓前 飮福禮

(초헌관은 묘전 앞에 나아가 음복하시오.)

祝進掇茶器

(축관은 나아가서 다기를 치우시오.)


11. 行 望燎禮 [망료(望燎)]

祝焚祝

(축관은 축문을 태우시오.)


12. 철찬

掇饌

(제물을 치우시오.)

祭畢

(모든 예를 마치겠습니다.)


출처 : 정선전씨 다음카페 뿌리를찾아서!
글쓴이 : 한강의 언덕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