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전홍일(全弘一)

2017. 12. 18. 11:02 인물열전



전홍일(全弘一)




[생원시] 인조(仁祖) 26(1648) 무자(戊子) 식년시(式年試) [생원] 3(三等) 48(78/100)

[인물요약]

자 회숙(會叔)

생년 기축(己丑)(1) 1589(선조 22)

졸년 정사(丁巳)(2) 1677(숙종 3)

본인본관 기장(機張)

거주지 북청(北靑)

[관련정보]

[문과] 효종(孝宗) 2(1651)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4(14/33)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타과 효종(孝宗) 2(1651)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 병과(丙科) 4

부모구존 영감하(永感下)

[가족사항]

[]

성명 : 전응곤(全應坤)

관직 : 학생(學生)

[처부]

성명 : 이덕홍(李德弘)(3)[1]

[안항형제]

서제 : 전호서(全虎瑞)

[1] 생년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106])에는 성명이 전홍일(全弘一)”, 생년이 기축(己丑)”(1589)으로,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에는 김홍일(金弘一)”, “기축(己丑)”으로,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朝26-47])에는 김홍일(金弘一)”, “무오(戊午)”(1618)로 기록되어 있음. 사마방목에는 전홍일(全弘一)”, “기축(己丑)”으로 기록되어 있다. 문과 단회방목에는 전홍일(全弘一)”, “무자(戊子)”(1588)로 적혀 있음. 전씨대동보(全氏大同譜)(1991)에는 기축생으로 나옴.

[2] 졸년 : 전씨대동보(全氏大同譜)(1991)를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3] 처부 : 전씨대동보(全氏大同譜)(1991)를 참고하여 처부를 추가.

[출전]

무자식년사마방목(戊子式年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6024-223])




[1]이덕홍[李德弘]

요약

조선 중기의 학자로 1578년 조정에서 이름난 선비 9명을 등용할 때 4위로 뽑혀 집경전참봉이 되고 영춘현감이 되었다. 저서에 주역질의》 《사서질의등이 있다

 



본관 영천(永川). 자 굉중(宏仲). 호 간재(艮齋). 예안(禮安) 출생. 이황(李滉)의 문인. 1578(선조 11) 조정에서 이름난 선비 9명을 등용할 때 4위로 뽑혀 집경전참봉(集慶殿參奉)이 되고, 종묘서직장(宗廟署直長) ·세자익위사부수(世子翊衛司副率)를 거쳐 영춘현감(永春縣監)이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는 왕을 의주(義州)로 호종했다.



특히 주역에 밝았고, 중용》 《심경(心經)》 《고문전후집(古文前後集)》 《가례(家禮)등을 주석했다. 이조참판에 추증되고, 영주의 오계서원(汚溪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에 주역질의(周易質疑)》 《사서질의(四書質疑)》 《계산기선록(溪山記善錄)》 《주자서절요강록(朱子書節要講錄)》 《간재집(艮齋集)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덕홍 [李德弘] (두산백과)






출처 : 전씨(全氏) 광장
글쓴이 : 전과웅 (55세/정선)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