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전만기(全萬紀)

2018. 2. 1. 12:08 인물열전


전만기(全萬紀)


[무과] 경종(景宗) 3(1723) 계묘(癸卯) 별시(別試) 병과(丙科) 15(44/478)

[인물요약]

자 대재(大哉)

생년 기사(己巳) 1689(숙종 15)

본인본관 전주(全州)

거주지 강동(江東)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478[128449]

전력 교생(校生) ()

부모구존 구경하(具慶下)

[가족사항]

[()]

성명 : 전승달(全承達)

품계 : 전력부위(展力副尉)

관직 : 겸사복(兼司僕)

[안항(鴈行)]

: 전만책(全萬䇿)

: 전만재(全萬材)

[출전]

상지3년계묘토역정시별시문무과방목(上之三年癸卯討逆庭試別試文武科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朝26-28-34])



() 교생[校生]

정의

조선시대 각 고을의 향교에 등록된 학생.

내용

이에 대해 서원(書院)에 등록된 학생을 원생(院生)이라 하였고, 합쳐서 교원생(校院生)이라 불렀다. 고을의 크기에 따라 정원이 정해져 있었는데, ·대도호부·목에는 각기 90, 도호부에는 70, 군에는 50, 현에는 30명으로 제한하였다.

그러나 16세 이하는 증광생(增廣生)이라는 이름으로 청강이 허용되었고, 후기에는 액외교생(額外校生)이라 하여 정원 외의 학생을 무제한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향교에서 유학을 학습하고 문묘의 제사를 받드는 기능을 맡아 국가로부터 군역을 면제받는 등의 혜택을 입었으나, 중기 이후 향교교육이 유명무실해지고 교수·훈도 등의 교관이 파견되지 않게 되면서, 양반자제들은 입학을 기피하고 상민·천민들이 군역을 피하기 위해 대량으로 몰려들어 사회문제화되기도 하였다.

상민들이 돈을 내고 향교에 들어와 오래 있게 되면, 군역의 면제는 물론 유생(儒生)의 대우를 받게 되어, 신분상승의 한 방편으로도 이용되었다.

참고문헌

경국대전(經國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우서(迂書)

조선초기(朝鮮初期)의 향교(鄕校)(이성무,이상옥박사화갑기념논문집, 1970)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교생 [校生]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출처 : 전씨(全氏) 광장
글쓴이 : 전과웅 (55세/정선)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