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7. 8. 23:38ㆍ 인물열전
강릉시 정선전씨 모선재(慕先齋)
전순인 묘지(全舜仁 墓誌)[강릉시 정선전씨 모선재(慕先齋)]
분야 역사/전통 시대, 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강원도 강릉시 한밭골길 25-15[대전동 56번지]
시대 조선/조선
출처 디지털강릉문화대전-전순인 묘지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인 전순인(全舜仁)의 가계와 행적을 기록한 비석.
개설
전순인의 자는 원경(元卿), 아버지는 전계현(全繼賢), 어머니는 삼척심씨 심양보(沈梁甫)의 딸이다. 어촌 심언광(주1), 삼가 박수량(주2)과 교유하였다. 1519년에 과거에 올라 벼슬이 군자감정(軍資監正)에 이르렀다.
금석문
비문은 강릉부사를 지낸 박종정(朴宗正)(주3)이 지었고,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을 지낸 심보영(沈普永)(주4)이 글씨를 썼다.
참고문헌
임호민, 『강릉시금석문자료집(江陵市金石文資料集)』(강릉시·관동대학교 영동문화연구소, 2003)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전순인 묘지 [全舜仁 墓誌]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주1)심언광[ 沈彦光 ]
요약
조선 중기의 문신. 1537년 김안로가 사사된 뒤 우참찬을 거쳐 공조판서가 되었으나, 앞서 안로를 구출한 일로 탄핵을 받고 이듬해 삭직되었다가 뒤에 용서되었다. 문장에 뛰어났고 문집에《어촌집》이 있다.
본관 삼척(三陟). 자 사형(士炯). 호 어촌(漁村). 시호 문공(文恭). 1507년(중종 2) 진사가 되고1513년 식년문과에 을과(乙科)로 급제, 검열(檢閱)에 보직되었다가 1514년 사가독서(賜暇讀書)했고, 1529년 형 언경(彦慶)과 함께 유배 중인 김안로(金安老)의 용서를 주청하여 예조판서에 등용하게 하였다. 그후 응교(應敎) ·직제학(直提學) ·대사간 ·부제학을 역임, 이조판서에 이르렀으나 김안로가 점차 횡포정치를 일삼고 자신의 외손녀를 세자빈(世子嬪)으로 삼으려 하자, 이를 극력 반대한 탓으로 김안로의 모함을 받아 함경도관찰사로 좌천되었다. 1537년 김안로가 사사(賜死)된 뒤 우참찬(右參贊)을 거쳐 공조판서가 되었으나, 앞서 안로를 구출한 일로 탄핵을 받고 이듬해 삭직(削職)되었다가 뒤에 용서되었다.1561년 좌참찬에 오르기도 했다. 문장에 뛰어났고 문집에《어촌집》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심언광 [沈彦光] (두산백과)
(주2) 박수량[朴遂良]
정의
1475(성종 6)∼1546(명종 1). 조선 중기의 학자·효자.
개설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군거(君擧), 호는 삼가정(三可亭)·쌍한정(雙閑亭). 아버지는 박승휴(朴承休)이며, 어머니는 감찰(監察) 이중원(李仲元)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04년(연산군 10)에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모친상을 당한 뒤로는 과거에 응하지 않았다. 연산군 때 단상법(短喪法: 상례 기간을 단축시키는 법)이 엄했으나, 모친상을 당하자 선왕(先王)의 제도를 어길 수 없다 하여 3년 동안 최복(衰服)을 입고 여막에 살았다. 중종반정 후에 효자 정문이 세워졌다.
1516년(중종 11) 김정(金淨)이 풍악산(楓嶽山)에서 오는 길에 박수량의 집을 방문해 며칠을 머물다가 작별할 때 척촉장(躑躅杖: 철쭉나무의 지팡이)을 선물하며 시를 지어 “깊은 산 층암 절벽에 찬서리 흰눈을 겪은 가지일세. 가지고 와서 그대에게 주노니 오래도록 이 마음 간직하게나.”라 하였다. 그러자 “참뜻을 잃을까 의심스러워 궁촌(窮村: 아주 한적한 시골)에 살고 있으나 곧은 성품 남몰래 간직했으니 정의를 위해서는 목숨을 아끼지 않으리.”라고 화답하였다. 뒤에 현량(賢良)으로 천거되어 용궁현감(龍宮縣監)이 되었는데, 그 때 용궁 고을에는 송사(訟事: 소송사건)가 많았으나 판단을 명석하고 빠르게 해 적체된 송사가 없었다. 이어 사섬시주부(司贍寺主簿) 등을 지내고 1519년(중종 14) 겨울에 기묘사화로 파직되어 고향인 강릉으로 돌아와, 당숙인 박공달(朴公達)과 쌍한정(雙閑亭)에서 시와 술과 담론으로 여생을 보냈다.
천성이 순수하며 후하고 소박했으며 뜻이 독실해 지조가 구차하지 않았다. 효행이 있었다. 1645년에 마을에서 사당을 세워 향사를 지냈다.
저서로는『삼가집(三可集)』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박수량 [朴遂良]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주3)박종정(朴宗正)
[문과] 정조(正祖) 2년(1778) 무술(戊戌) 알성시(謁聖試) 갑과(甲科) 1[壯元]위(1/3)
순조9년1808년 강릉대도호부 부사 역임
(주4)심보영(沈普永)
[문과] 정조(正祖) 18년(1794) 갑인(甲寅) 정시(庭試) 병과(丙科) 37위(40/50)
1807년 사헌부장령 역임
' 인물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중앙종친회 이사진 (0) | 2018.07.12 |
---|---|
[스크랩] 조선왕조실록 고찰 [전영부(全英富)] (0) | 2018.07.09 |
[스크랩] 보문각 대제학 전빈 묘지[寶文閣 大提學 全賓 墓誌] (0) | 2018.07.08 |
[스크랩] 전우익[全遇翊] (0) | 2018.07.05 |
[스크랩] 괴산 산막이길로 36차 웰빙산행 - 한국인의 성씨자료 (0) | 2018.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