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3. 4. 12:51ㆍ게시판
◎ 티눈 빼는 법
Ⅰ. 피부과 병원 치료를 받는다.
티눈 연화용 크림을 바른 후 부석이나 손톱 줄로 살살 문질러 죽은 피부를 제거한다. 죽은 세포가 모두 떨어져 나올 때까지 계속 반복합니다.
이 때 중심부에 쐐기 모양의 티눈 핵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면 증상이 다시 재발됩니다.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티눈에 부신피질 호르몬 주사를 맞아 통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완전한 치료는 티눈 부위를 부분 마취하여 이산화탄소(CO2) 레이저로 티눈 핵까지 태워 없애는 방법입니다 . 냉동요법, 주사요법 등이 있으며, 치료 후 상처가 자생되어 아무는데 걸리는 기간은 2~3주 정도가 소요됩니다.
Ⅱ. 뜸을 이용하여 집에서 치료한다.
첫째 방법: 대형 쑥뜸으로 치료하기
1. 뜸을 어른 손톱만큼 준비합니다.
2. 뜸을 단단하게 뭉친다.
통상적으로 뜸쑥의 크기는 티눈 크기보다 커야 합니다.
티눈보다 작은 뜸쑥은 고통만 있고 여러 번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티눈 부위와 정상부위의 팽창계수가 틀린 것을 이용해 치료하는 것이므로 티눈 부위에 원자탄에 해당하는 극강의 화기가 필요합니다.
3. 원뿔 모양으로 다듬어 안정적으로 티눈 부위 중앙에 올려놓는다.
4. 라이터로 뜸쑥에 불을 붙인다.
5. 치료 후의 개운한 기분을 위하여 인내력을 발휘하여 다 탈 때까지 참는다.
6. 중간에 뜨겁다고 불붙은 뜸쑥을 치워 버리면 지금까지의 고통이 아깝습니다.
7. 고통 후에 완전한 근본 치료가 완성될 수 있습니다.
8. 티눈부위의 팽창력과 정상부위 세포의 팽창력 계수가 틀려서 인체에 기생 중인 티눈 부위가 강냉이 튕겨지듯 하얗게 뿌리가 뽑히게 됩니다.
둘째 방법: 쌀알 크기의 뜸으로 치료하기
쌀알 크기의 뜸으로 30장 정도 뜬다.
셋째 방법: 간접 뜸으로 치료하기
티눈에 침으로 몇 개의 구멍을 낸 후 간접뜸으로 환부에 여러 장을 뜬다.
사례
첫째 방법: 대형 쑥뜸으로 치료하기
제가 이 방법으로 티눈을 뺐었는데 첨에 생살에 뜸을 뜬다는게 두려웠지만 한 순간에 보기 싫던 티눈이 뻥 하고 날아갈 때는 정말 속이 다 후련 했고 다시 티눈이 생기는 일도 없이 한 방에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고통을 참을 배짱이 있어야 가능한 일이였죠. 티눈 정말 지긋지긋 한 분들께 적극 추천입니다. 도전하세요. ^^;
티눈 제거 민간요법
http://cafe.daum.net/byandlove/5DOq/1662
티눈 제거 방법 티눈 때문에 고생하지요?
티눈을 제거하는 민간요법입니다
▶티눈의 치료는 백가지 약이 뜸만 못합니다. 약간 고통이 따르기는 하지만 이 이상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습니다. 티눈이 있는 곳에 녹두 알만한 크기의 쑥뜸을 15장정도 뜨면 뿌리가 뽑힐 것입니다.
▶발바닥이나 발가락에 티눈이 생겨 아파서 걷기 힘들 때에 마늘을 이용하면 좋은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껍질을 벗긴 마늘을 짓찧어 티눈에 발라둡니다. 2~3번 바르면 효과를 보실 수 있어요. 이때 티눈 이외의 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우리는 흔히 대합조개를 쪼개면 그 속에 살아 움직이는 게를 발견하게 됩니다. 티눈 윗 껍질을 칼로 긁어버리고 조개 속의 게를 말려 가루를 낸 다음 티눈에 두툼히 싸매두면 조속한 효험을 볼 수 있습니다.
▶닭의 뼈를 이용하셔도 좋은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닭의 무릎 아래 뼈를 불에 놓고 기름이 날 때까지 굽습니다. 여기서 나오는 기름을 식기 전에 티눈 위에 떨어뜨립니다. 약간 뜨겁지만 이렇게 몇 번 하면 티눈이 모두 빠져 버립니다.
될수록 방금 잡은 닭의 뼈를 써야 기름이 많이 나고 효과도 좋습니다. 또한 닭의 뼈를 보드랍게 가루 내어 티눈에 대고 비벼도 잘 낫습니다.
▶소철 잎을 밀폐한 질그릇에 넣고 검게 구워 가루를 낸 다음 밥풀과 섞어서 티눈에 붙이면 잘 빠집니다.
▶오매육 2.5g을 소금물에 하루 동안 담갔다가 짓찧어 고약처럼 만들어 티눈에 대고 반창고를 붙여 놓습니다. 이렇게 하루 한 번씩 갈아붙이면 티눈이 빠집니다.
▶대추를 종이 서너 장두께로 썰어서 티눈에 붙이고 반창고를 붙여두기를 3~4번 하면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율무밥을 짓찧어 티눈을 깎아내고 그 자리에 붙이고 순 율무죽을 며칠동안 끓여 먹으면 좋은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사문화를 우상숭배로 폄하한 잘못을 반성하며 (0) | 2010.03.07 |
---|---|
‘태극권의 정수’ 진씨 태극권 (0) | 2010.03.04 |
초콜렛을 바른 패스트리와 카푸치노 - 로마의 아침 식사 (0) | 2010.03.02 |
<아바타>에서 '전설의 명약'을 떠올리다 (0) | 2010.02.26 |
100년 된 ‘보이茶’?… “그건 가짜예요” (0) | 2010.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