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지혈증은 체내 지질대사에 이상이 생겨 혈중의 지질이 비정성적으로 높아진 상태를 말합니다. 고지방, 고칼로리 식사, 음주, 유전, 간기능 장애, 당뇨병, 피임약복용, 갑상선 기능 저하, 신증후군 등이 원인으로 이러한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동맥경화, 심장병 등 성인병을 유발하며 지속적인 식사조절과 규칙적인 운동을 통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고지혈증식은 크게 두 가지로 고콜레스테롤증 환자를 위한 저포화지방 저콜레스테롤식사와 중성지방혈증 환자를 위한 열량조절식이 있습니다.
1. 혈당을 조절하고 정상체중을 유지합니다.
- 표준 체중 = (키-100)×0.9
2. 포화지방을 제한합니다.
- 포화지방산이란? 상온에서 굳어서 고체 또는 반고체상태의 기름.
돼지기름 등 모든 동물성 기름과 버터, 쇼트닝, 라드, 식물성기름 중 코코넛 기름과 팜유 등에 다량 포함
다량 섭취시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을 높여 심장질환의 발병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불포화지방산이란? 상온에서 흐름성이 있는 액체 상태의 기름.
불포화지방산의 종류:
①단가 불포화지방산 :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치를 낮추어 심장질환의 발병위험을 낮춰줍니다.
(올리브기름, 땅콩기름, 카놀라유 등)
②다가 불포화지방산:
오메가-3계 지방산:혈액 내의 중성지방을 감소시켜 심질환의 발병위험을 낮춰줍니다.
일주일에 3~4회 정도 1토막씩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등푸른 생선의 참치, 고등어 등이 생선기름, 들깨기름, 콩류 등)
오메가-6계지방산:혈액 내의 콜레스테롤치를 낮추어 심장질환의 발병위험을 낮출 수 있으나, 과량 섭취시는 혈액순환을 좋게 하는 HDL-콜레스테롤을 낮춰줍니다.
(옥수수기름, 면실유, 콩기름, 해바라기씨 기름 등)
포화지방산이 많이 포함된 것 |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포함된 것 |
돼지고기나 소고기 등의 육류 기름기, 닭껍질, 버터, 마가린, 생크림, 치즈, 소세지, 햄, 베이컨, 초콜릿, 코코넛기름, 기름진 빵이나 과자류 |
등푸른 생선, 참기름, 콩기름, 들기름,
옥수수기름, 올리브기름 |
3. 콜레스테롤이 많이 함유된 식품은 1주일에 2-3회 정도로 제한하여 섭취합니다.
- 식이콜레스테롤을 200mg 이하로 섭취하려면?
매끼 식사에서 주식은 곡류로 하고 국과 찬류는 콜레스테롤이 없는 식품 중에서 2가지 이상 을 골고루 섭취하고, 하루에 1회 정도 콜레스테롤이 중정도 함유된 식품을 선택한다.
콜레스테롤이 많은 식품 |
콜레스테롤이 적은 식품 |
콜레스테롤이 없는 식품 |
소간, 돼지간, 장어, 뱀장어, 문어, 오진어, 전복, 명란젓, 새우, 달걀 노른자, 메추리알 |
게, 정어리, 전갱이, 소시지, 치즈, 고등어, 닭고기, 돼지고기, 쇠고기 |
밥, 국수류, 콩류, 과일, 채소류, 해조류, 버섯류, 식물성 기름, 두유, 달걀 흰자 |
4.지방의 섭취를 줄입니다.
- 하루에 식물성 기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양은 15-20g(3-4 차스푼 정도)입니다.
튀김, 볶음, 전류 등 기름사용이 많은 조리법은 피하고 대신 조림, 찜, 굽기 등의 조리법을 이용합니다.
5. 유제품은 저지방 우유 또는 탈지우유, 두유로 섭취합니다.
6. 단순당질의 섭취를 줄입니다.
- 우리나라 식습관은 당질 섭취가 높아 혈중에 중성지방이 높습니다. 특히 단순당질(설탕, 사탕, 설탕이 들어간 과자나 케이크, 청량음료 등)의 섭취는 고혈당의 위험을 줄이고 고중성지방혈증에 도움이 됩니다.
7. 술은 가급적 피합니다.
- 술은 영양적 가치가 없으면서 지방으로 변하기 쉬워 수릉 f자주 마시는 사람에게는 고혈압 이나 뇌졸중의 발병률이 높으므로 음주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8. 섬유소(잡곡, 채소, 과일, 해조류 등에 함유)가 많은 식사를 합니다.
- 섬유소는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낮추며 체중조절에도 도움이 되므로 가급적 섬유소가 많은 식품을 선택하여 먹는 것이 좋습니다.
9. 적당한 운동이 필요합니다.
☆ 허용식품과 제한식품
|
허용식품 |
제한식품 |
곡 류 |
쌀밥, 잡곡밥, 국수, 떡류, 식빵, 하드롤, 씨리얼 등 |
볶음밥, 짜장면, 라면, 스파게티,머핀, 롤케익, 도우넛, 패스츄리, 케익류 |
어육류 |
․ 저지방 어육류(하루 200g 미만) :
닭(껍질제거), 살코기(소, 돼지),굴, 조개, 참도미, 가자미, 광어, 동태, 삼치, 갈치 등 계란흰자
․ 식물성 단백질 식품 :
두부, 콩비지, 순두부 등 |
․ 고지방 어육류 : 갈비(소, 돼지), 삼겹살, 돼지머리, 닭껍질, 기름이 많은 등심/안심, 스팸, 소세지, 장어, 소고기 갈은 것
․ 고콜레스테롤 식품 : 소간, 내장류,
생선알, 새우, 전복, 낙지, 문어,
오징어(물오징어, 말린오징어, 오징어채), 계란노른자(주 2회 이하) |
유지류 |
옥수수기름, 면실류, 참기름, 들기름, 올리브유, 소프트 마가린 : 하루 3-4 작은술(15-20cc) |
버터, 라아드, 베이컨기름, 돼지기름,
닭기름, 코코넛유, 팜유, 쇼트닝, 프림, 마거린, 캐슈넛, 하드마가린 |
유제품 |
저지방우유, 락토우유, 두유,
탈지분유, 저지방요구르트 |
목장우유, 치즈, 아이스크림, 생크림,
전지분유, 밀크쉐이크 |
채소,과일류 |
신선한 야채, 과일류 |
기름에 볶거나 튀긴 야채 |
소스,드레싱
양 념 류 |
마늘, 파, 생강, 식초, 후추가루,
토마토케찹, 겨자소스, 레몬즙 |
마요네즈드레싱, 우스터드소스,
바비큐소스, 그레이비소스 |
외식시 |
비빔밥, 한정식, 생선구이, 김밥,
초밥, 냉면 등 |
꼬리곰탕, 해장국, 곱창구이, 전골,
추어탕, 보신탕, 중국요리 등 |
<당뇨 고지혈증 식단의 예>
|
조 식 |
중 식 |
석 식 |
메뉴
2000
cal |
보리밥 |
280g |
쌀밥 |
280g |
잡곡밥 |
280g |
콩나물국 |
|
건새우아욱국 |
|
쇠고기미역국 |
쇠고기 40g
참기름 2g |
삼치찜 |
삼치 50g |
불고기 |
우불 40g
참기름 2g |
연두부찜 |
연두부 150g |
호박나물 |
참기름 3g |
상추․양배추쌈 |
|
취나물 |
참기름 3g |
연근조림 |
식용유 3g |
시금치나물 |
참기름 3g |
꽈리고추찜 |
|
배추김치 |
|
배추김치 |
|
배추김치 |
|
간식 |
저지방우유 1팩 |
|
사과1개 |
출처: |
![](http://www.maryknoll.co.kr/images/logo.gi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