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항문구조 때문에 치질 잘 걸려

2010. 3. 9. 00:04게시판

남성, 항문구조 때문에 치질 잘 걸려

항문 안쪽에는 점액질을 분비해 배변을 돕는 항문샘이 6~12개 정도 있다. 이 항문샘에 세균이 침입하면 곪았다 터지면서 구멍이 생기게 된다. 처음 염증이 시작된 항문 안쪽 구멍을 내공, 고름이 흘러나온 바깥쪽을 외공이라고 하고, 내공과 외공이 터널처럼 연결돼 있는 것을 치루라고 한다.

치루는 20~30대에 많으며 남자에게 4~5배 정도 많이 발생한다. 그 이유는 남자들의 경우 항문 구조상 청결 관리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남성의 항문샘은 여성의 항문샘보다 깊은 경우가 많다. 항문샘이 깊은 사람은 다른 사람과 비슷하게 씻어도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기 쉬워 세균 감염 위험이 높다.

또한 남자는 여자보다 괄약근이 튼튼한 편이어서 치루에 걸릴 가능성이 크다. 괄약근의 압력이 높으면 항문샘의 입구가 좁아져 오물이 많이 쌓이고 염증이 더 생기기 때문이다. 병목이 좁으면 물이 잘 안 빠지는 것과 같은 원리다.

술과도 관련이 있다. 남자는 음주 횟수도 많고 과음을 하는 일도 잦다. 음주는 잦은 설사로 이어져 항문샘 입구에 오물이 모이게 하는 요인이 된다. 더욱이 음주 후에는 신체의 면역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항문샘에 염증이 생길 확률도 높아진다.

치루가 있으면 처음에는 배변 시 항문 안쪽이 따끔하고 항문 주위에 종기가 난 것처럼 붓는다. 항문에 열이 나거나 감기처럼 온 몸에 열이 오르기도 한다. 그러다가 심해지면 견디기 힘들 정도의 통증과 함께 항문이 크게는 계란 크기만큼 부풀어 오른다.

이렇게 며칠 고생하다가 고름이 터져 나오면 시원한 느낌이 들고 통증도 사라진다. 이 때 환부를 만져보면 볼펜심처럼 딱딱한 줄기가 항문 안쪽으로 뻗어 있는 것이 느껴진다. 흔히 이 단계가 되면 저절로 나았다고 생각하지만 오히려 이 때부터가 바로 치루의 시작이다. 치료를 하지 않고 내버려두면 술이나 기름진 음식을 먹을 때, 또는 몸의 면역력이 떨어질 때마다 붓고 터지기를 반복하며 만성 치루로 악화된다.

치루는 자연 치유나 약물 치료가 되지 않고 수술만이 유일한 치료법이다. 치루를 방치해 만성화되면 ‘복잡 치루’나 ‘마제형 치루’를 형성하거나 드물게 치루암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술을 해도 재발하기 쉬우므로 치루로 진단받으면 바로 수술로 치료하는 것이 최선이다.

치루 수술은 고름이 나오는 치루관을 절개하고 염증을 일으킨 항문샘을 찾아 내공까지 제거하는 방법을 쓴다. 내공을 제거하면 1.8% 정도만 재발되지만 내공을 제거하지 않으면 거의 100% 재발되기 때문이다.

치루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항문 주위를 청결하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대변을 본 후에는 휴지로만 항문을 닦지 말고 물로 씻어주는 게 좋다. 씻을 때는 비누 등을 사용하기보다 물로만 씻는다. 설사는 치루를 악화시키므로 설사를 멈추게 하는 약을 먹어 빨리 치료하도록 한다. 또 평소 지나친 음주를 삼가는 것도 예방에 도움이 된다.

 

/ 배지영 헬스조선 기자 baejy@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