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12. 30. 14:56ㆍ 인물열전
승정원일기
숙종 4년 12월 15일 (신사) 원본267책/탈초본14책 (6/14) 1678년 康熙(淸/聖祖) 17년
殿講에서 居首한 成任 등에게 施賞하라는 비망기
○ 以備忘記, 傳于鄭維岳曰, 殿講(주1)居首幼學成任·全聖準, 各給二分, 之次幼學丁櫋, 紙三卷, 筆五柄, 墨二笏賜給。
-------------------------------------------------------------------------------------
숙종 10년 10월 11일 (계묘) 원본305책/탈초본16책 (3/13) 1684년 康熙(淸/聖祖) 23년
洪受潤이 사은함
○ 謝恩, 兵曹佐郞洪受潤, 義興縣監李厚芳, 中學敎授全聖準。
-------------------------------------------------------------------------------------
숙종 13년 8월 19일 (을축) 원본323책/탈초본17책 (18/18) 1687년 康熙(淸/聖祖) 26년
李三碩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有政。吏批, 以李三碩爲正言, 安重爲監察, 姜鋧爲應敎, 宋道昌爲高陽郡守, 李濟民爲持平, 李守長爲兔山縣監, 李星齡爲通川郡守, 尹趾善爲同春秋, 全聖準爲典籍, 池天錫爲典籍, 韓泰東爲司諫, 宋奎濂爲大司諫, 李世白爲廣州留守, 沈枰爲司成, 徐文裕爲獻納, 金盛最爲工曹正郞, 申懹爲承旨, 趙持正爲大丘判官。兵批, 以吳斗寅爲知事, 東原君潗爲都摠管, 李惠疇爲訓鍊都正, 鄭之綵爲忠壯將, 慶㝡·李敏章付副護軍, 李奎齡·沈枰·沈思泓·李東郁付副司直, 金洪福付副司果。
-------------------------------------------------------------------------------------
숙종 16년 12월 4일 (경신) 원본343책/탈초본18책 (3/4) 1690년 康熙(淸/聖祖) 29년
朴世華 등이 하직함
○ 下直, 藍浦縣監朴世華, 開城敎授全聖準。
-------------------------------------------------------------------------------------
숙종 23년 7월 7일 (을유) 원본372책/탈초본19책 (13/15) 1697년 康熙(淸/聖祖) 36년
柳虎徵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有政。以柳虎徵爲司憲府監察, 申命元爲成均館直講, 吳鼎和爲活人署別提, 崔翊周爲瓦署別提, 成碩夔爲咸鏡道都事, 尹道敎爲宗簿寺主簿, 具昌柱爲典牲署主簿, 李濟夏爲義盈庫直長, 尹扶爲尙衣院別提, 趙裕壽爲司饔院奉事, 李震一爲尙瑞院直長, 朴尙淳爲義盈庫奉事, 李漢章爲旌義縣監, 金應運爲鎭海縣監, 南世珍爲兵曹佐郞, 李世恒爲掌樂院主簿, 李賀朝爲司僕寺主簿, 柳長龍爲瓦署別提, 金壽益爲禮曹正郞, 南屹爲造紙署別提, 李萬夏爲戶曹佐郞, 鄭度興爲內資寺主簿, 李蕃爲軍資監判官, 李益興爲尙瑞院副直長, 李必益爲刑曹佐郞, 閔以升爲工曹佐郞, 沈益昌爲敦寧府判官, 洪萬選爲司饔院僉正, 鄭撢爲司憲府監察, 尹世鼎爲義禁莩事, 鄭維漸爲禮曹佐郞, 成碩藎爲成均館典籍, 朴鍟爲兼通禮院引儀, 吳道一爲兼同知春秋館事,徐植爲繕工監副奉事, 趙泰耉爲兼中學敎授, 朴泰輿爲內寺敎官, 南受萬爲典設司別檢, 金後昌爲通禮院引儀, 全聖準爲奉常寺(주2)主簿, 崔天璧爲禮賓寺主簿, 朴廷軾爲東部主簿, 黃世耉爲敦寧莩正, 鄭寅賓爲內侍敎官, 李東郁爲咸鏡監司, 韓祉爲健元陵參奉, 李弘廷爲崇陵參奉, 朴春阜爲通禮院假引儀, 李𥥈爲寧陵參奉, 李廷師爲穆陵參奉, 安相億爲恭陵參奉, 李烶爲顯陵參奉, 李相如爲英陵參奉, 金時郁爲成均館典籍, 趙彝重爲通禮院假引儀, 金致鳳爲慶基殿參奉。
-------------------------------------------------------------------------------------
숙종 28년 4월 13일 (갑자) 원본403책/탈초본21책 (5/13) 1702년 康熙(淸/聖祖) 41년
洪重楷 등의 治積 등에 대해 상벌을 청하는 吏曹의 계목
○ 吏曹啓目, 粘連觀此黃海道暗行御史兪命弘書啓, 則金川郡守洪重楷, 政事剛明, 事多修擧, 束吏以嚴, 撫民以寬, 大小蠲役之事, 殆至十六條, 而本邑私大同, 積年未收累百石之數, 一倂蕩減, 客使時凡百供億, 皆自官備, 不煩民力。又料理創設保民廳, 爲永久便民之計, 一境莫不稱頌是如爲白乎旀。殷栗縣監趙泰興段, 勤於奉職, 事多修擧, 山倉重修等役, 不煩民力, 皆自料理, 他物別備, 亦且不貲[些]。量田時, 力制土豪, 高下分等, 頗得其宜, 流來虛卜六百餘結, 盡爲蕩減, 人多稱頌是如爲白臥乎所。此兩邑守令善治之績, 有足可尙。其所拮据以補民力者, 雖不無多寡之差, 似當有參酌褒賞之典, 貢賦納未納, 令戶曹相考稟處爲白乎旀。瓮津縣監李苾段, 莅官謹愼, 政不苛刻, 支勅之時, 別無橫斂, 發覺奸吏, 降定使令, 民多稱快是如爲白乎旀。康翎(주3)縣監全聖準, 孜孜撫民, 量減官捧, 中船一隻, 自備補民, 民皆稱譽, 量田分等, 雖以太高呼冤, 亦不歸咎本官是如爲白有臥乎所。此兩邑守令, 雖有稱譽之言, 亦無表著之績, 竝姑置之爲白乎旀。載寧郡守崔柱岳段, 別無大段疵政, 且有客行時若干料理是白乎矣, 政欠剛明, 事多優游, 束吏不嚴, 或有弄奸之弊, 收糴之時, 出送刑吏, 刻期督迫, 民多稱冤是如爲白乎旀。松禾縣監朴尙一段, 重厚謹愼, 政亦不苛, 且無大段可言之疵是如爲白乎旀, 衰病遲鈍, 坐衙頗稀, 牒報多滯, 束吏不嚴, 民或受弊, 失行良女, 不能明査, 徑定官婢, 終無報知營門, 處事疎闊, 類如此是如爲白有臥乎所。此兩邑守令, 雖無非法之事, 旣不能檢束下吏, 貽害民間, 而捧糴之致怨, 按法之疎闊, 亦不可無責, 竝只罷黜爲白乎旀。監司申銋段, 站路往來, 旣省騶從, 廚傳務從簡約是如爲白乎矣, 按道之臣, 事體自別, 不必擧論是白乎旀。沿海邑海州牧使李萬亨段, 本牧營下劇邑, 衆弊叢生, 而到任未久, 事多修擧, 支勅凡需, 自官料理, 不煩民力, 軍兵逃故, 不可勝數, 而方便出慮, 荀閑丁, 幾至六百名, 而不至擾民是如爲白臥乎所, 其所治理, 雖有可稱, 姑無特著之成效, 置之爲白乎旀。谷山府使鄭來祥段, 其所稱道, 最有治績, 沿路守令之廉問, 旣是條令之外, 非所可論是白乎旀。兵使以下邊將等乙良, 令該曹稟處, 何如? 啓依允。
-------------------------------------------------------------------------------------
영조 원년 4월 28일 (을미) 원본591책/탈초본32책 (7/29) 1725년 雍正(淸/世宗) 3년
黃龜河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以黃龜河爲工曹參判, 以張鵬翼爲同義禁, 行都承旨尹錫來, 行左承旨洪錫輔, 右承旨李挺周, 左副承旨金相元。右副承旨李鳳翼, 以李徵夏爲同知, 李舜佐爲內禁將, 金夢衡爲都摠經歷, 全聖準爲文兼, 韓泰箕爲四山監役, 李絿爲司禦, 具侙爲忠州營將, 李復淵爲忠淸兵使, 乾原權管宋聚奎, 副護軍鄭纉述·朴世拯·李弘毅, 副司直李重協, 副司正朴致文。
-------------------------------------------------------------------------------------
영조 3년 9월 18일 (신미) 원본646책/탈초본35책 (9/19) 1727년 雍正(淸/世宗) 5년
○ 吏批。判書吳命恒, 參判徐命均進, 參議趙遠命未肅拜, 都承旨李廷濟進。兵批, 判書沈壽賢進, 參判李翊漢病, 參議金啓煥進, 參知權益淳在外, 承旨蔡成胤進, 以李麟徵爲工曹判書, 成德潤爲校理, 全聖準爲禮曹正郞, 宋徵奎爲黃州牧使, 朴宗潤爲康津縣監, 鄭錫五爲司書, 宋眞明爲大司諫, 朴乃貞爲承旨, 柳聖徵爲礪山府使, 金東弼爲判尹, 金泰衍爲戶曹正郞, 朴弼琦爲咸鏡都事, 尹天復爲長陵參奉, 李普昱爲副修撰。
-------------------------------------------------------------------------------------
영조 4년 2월 2일 (계미) 원본655책/탈초본35책 (33/51) 1728년 雍正(淸/世宗) 6년
○ 有政。吏批, 以鄭東羽爲氷庫別提, 具鼎勳爲軍資主簿, 朴師任爲陰竹縣監, 李世聃爲歙谷縣令, 許源爲天安郡守, 朴師漢爲咸陽郡守, 鄭東游爲金山郡守, 成義錫爲平昌郡守, 全聖澤爲保寧縣監, 崔興祚爲遂安郡守, 李景喆爲熙川郡守, 金聲發爲梁山郡守, 李喜夏爲長連縣監, 金礈爲陽德縣監, 李義豐爲朔州府使, 李天駿爲昌城府使, 成殷錫爲三水府使, 魚有琦爲肅川府使, 裵泰基爲慈山府使, 洪德望爲金海府使, 柳壽垣爲橫城縣監, 姜樸爲咸從府使, 張世良爲康翎縣監, 吳遂顯爲黃山察訪, 李必範爲長水察訪, 裵胤命爲蔚珍縣令, 任珖爲應敎, 李嵩鎭爲新昌縣監, 李命熙爲光州牧使, 李光國爲禮曹正郞, 沈碩賢爲內贍主簿, 慶千會爲禮賓別提, 宋逢源爲宗廟直長, 趙宗裕爲濟用直長, 朴泰恒爲知敦寧, 尹東源爲工曹佐郞, 李萬東爲鎭岑縣監, 全聖準爲兵曹佐郞。左參贊姜鋧, 工曹判書沈檀, 加輔國, 前判書朴泰恒, 加正憲, 前參判尹鼎和, 前兵使尹遇進, 加嘉義, 前僉知沈廷佐, 加嘉善, 前府使朴起祖, 加通政, 趙文命爲大司憲, 申致雲爲副校理, 柳運爲持平, 黃晸爲掌令, 趙鎭世爲說書, 金始炯爲弼善, 鄭齊斗爲世子贊善。
-------------------------------------------------------------------------------------
영조 4년 8월 11일 (을축[기축]) 원본668책/탈초본36책 (4/21) 1728년 雍正(淸/世宗) 6년
○ 吏批啓曰, 判書尹淳在外, 參議未差, 小臣獨政未安, 何以爲之? 敢稟。傳曰, 仍爲之。又啓曰, 春坊闕員, 今當差出, 而擬望之人乏少, 外任竝擬, 何如? 傳曰, 允。又啓曰, 玉堂闕員, 今當差出, 而曾前出入之人, 多在罷散中, 無以推移備擬, 合有變通之道, 何以爲之? 敢稟。傳曰, 別單書入。又啓曰, 因禮曹草記, 宣陵奉事金, 奉命在外, 參奉未差, 秋夕祭時, 不可以兩假官進參, 奉事金, 令該曹稟旨變通事, 允下矣。金, 今方奉命在外, 與他司奉事中相換, 何如? 傳曰, 允。又啓曰, 卽接奉常寺牒呈, 則正尹憲周, 身病甚重, 不得察任云。依例改差, 何如? 傳曰, 允。又啓曰, 卽接敦寧府·宗廟署·成均館關牒, 則判官朴泰鎭, 受由過限未上來, 副奉事尹處謙, 司藝(주4)全聖準, 典籍趙泰彦, 除授後過限未肅拜, 依例竝改差, 何如? 傳曰, 允。又啓曰, 新除授平安都事李濰呈狀內, 素患腹痞之症, 添劇, 元氣虛陷, 當此檢田迫急之日, 以此病狀, 萬無强起赴任之勢, 斯速入啓處置云。身病果如是危重, 則不可等待其差復, 平安都事李濰, 改差, 何如? 傳曰, 允。
(주1)전강[ 殿講 ]
조선시대 경서의 강독(講讀)을 권장하기 위하여 실시하던 시험.
성종 때 경학(經學)이 쇠퇴함을 걱정하여 매식년(式年) 문신 중 경서에 뛰어난 사람을 뽑아 이를 전경문신(專經文臣)이라 하고 가끔 어전에서 경서를 시험한 데서 비롯되었다. 처음 임강(臨講)으로 하다가 1731년(영조 7)부터 배강(背講:책을 임금이나 스승 앞에 펼쳐놓고 본인은 돌아앉아 외는 일)으로 규정하였다.
그후 이 취지를 확대시켜 성균관과 4학(四學)의 도기유생(到記儒生:성균관 학생으로 출석을 적는 식당에 규정대로 출석한 자), 즉 시거유생(時居儒生)에게 적용하여 매년 2,4,6,8,10,12월 16일에 궁중에 모아 강경시험(講經試驗)을 실시하였다. 그 성적이 '순통(純通)'이면 문과복시(覆試)에 직부(直赴)할 자격을 주었고, 임금이 친히 고강(考講)하였을 경우 전시(殿試)에 직부하기도 하였으며 또 급분(給分)도 하였다.
인원은 일정하지 않았으나 3명을 넘지 않았으며, 처음에는 경서 중의 과목을 시험하다가 뒤에는 삼경(三經:詩·書·易經)을 시험하였고 응시자의 자격도 점차 확대되어 생원·진사·4학재임(四學齋任) 및 명문의 자제까지 응시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전강 [殿講] (두산백과)
(주2)봉상시[ 奉常寺 ]
조선시대 국가의 제사 및 시호를 의론하여 정하는 일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네이버 지식백과] 봉상시 [奉常寺]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주3)강령[ 康翎 ]
황해도 옹진과 인천광역시 옹진 지역의 옛 지명.
[네이버 지식백과] 강령 [康翎]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주4)사예[ 司藝 ]
고려 후기인 1275년(충렬왕 1)에 국자감(國子監)이 국학(國學)으로 개칭되면서 사업(司業, 종4품)이 사예로 고쳐졌으나 23년 뒤에 사업으로 환원되었다.
뒤에 악정(樂正, 종4품)이 사예로 고쳐졌다가 1356년(공민왕 5)에 사업으로, 6년 뒤에 다시 사예로 고쳐졌다. 조선 건국 직후 악정 2인이 정4품으로 승격되어 설치되었으나, 1401년(태종 1)에 사예로 바뀌고 3인으로 증원되었다.
성균관유생들에게 음악을 지도하는 관직으로 1658년(효종 9)에 좨주(祭酒) 2인이 성균관에 따로 설치되어 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이 이를 겸임하게 된 뒤 1인이 감원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예 [司藝]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인물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승정원일기 고찰[전성신(全聖臣)] (0) | 2016.01.02 |
---|---|
해체의 詩學 : 파격시의 세계[全義民] (0) | 2015.12.31 |
각암집[전유경(全有慶)] (0) | 2015.12.28 |
학국학중앙연구원 역대인물정보 추기(追記)[전백령(全栢齡)] (0) | 2015.12.26 |
[문과]“전백령”에서 ‘일명 김백령’의 기록 재검토 요청 (0) | 2015.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