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6. 11. 07:47ㆍ 인물열전
승정원일기 114책 (탈초본 2258책) 순조 30년 9월 1일 병진 22/41 기사 1830년 道光(淸/宣宗) 10년
○ 有政。 吏批, 判書徐能輔進, 參判沈能岳, 參議李寅泰竝牌不進, 右副承旨尹秉烈進。 以金陽淳爲大司憲, 安光直爲大司諫, 朴升鉉爲執義, 尹心圭爲司諫, 李正耆·權徽爲掌令, 金胤根·洪重燮爲持平, 李應信爲獻納, 洪祐順·成遂默爲正言, 鄭尙愚爲左賓客, 全國憲爲禮曹佐郞, 金履載爲尙衣提調, 鄭尙愚爲掌樂提調, 金在昌爲司譯提調, 沈能岳爲濟用提調, 李錫奎爲分內醫提調, 文澤行爲造紙別提, 成均博士單金鉉復, 閣監二單張賢吉·李東臣, 左賓客李羲甲, 右賓客金履喬, 左副賓客鄭尙愚。
--------------------------------------------------------------------------------------
승정원일기 116책 (탈초본 2316책) 헌종 1년 5월 9일 정묘 16/24 기사 1835년 道光(淸/宣宗) 15년
○ 吏批, 再政。 以申緯爲同經筵, 全國憲爲司藝, 崔璜爲禁府都事, 兪碩柱爲瓦署別提, 任翼常爲監役, 尹履誼爲漣川縣監, 贈吏判李義悅贈左贊成, 贈吏參李明中贈吏判例兼, 以上判義禁李止淵兩代。
-------------------------------------------------------------------------------------
승정원일기 116책 (탈초본 2317책) 헌종 1년 6월 25일 계축 20/41 기사 1835년 道光(淸/宣宗) 15년
○ 李羲肇, 以吏批言啓曰, 廣州府判官, 今當差出, 而本府以營下劇邑, 物衆地大, 素稱難治, 不可不擇差, 他道有聲績已準限未準朔守令竝擬, 何如? 傳曰, 允。 以金鎭華爲珍山郡守, 金祖根爲廣州判官, 李熙洙爲寶城郡守, 申命沆爲鐵山府使, 梁建洙爲固城縣令, 宋能圭爲修撰, 權溭爲副修撰, 金箕絢爲尙瑞副直長, 李羲命爲軍器副正, 尹宅烈爲牙山縣監, 李昌在爲開寧縣監, 李象斗爲靑陽縣監, 洪秉箕爲鎭川縣監, 申命漢爲洪原縣監, 金鉉復爲靑巖察訪, 李壔爲宗廟副奉事, 白宗述爲典籍, 朱樂浩爲淑陵奉事, 吳取善爲刑曹參議, 金龍彦爲平安都事, 權敦仁爲藝文提學, 閔致成·李嘉愚爲同經筵, 趙在慶爲校理, 李明迪爲副校理, 洪祐信爲社稷令, 徐光奎爲儀賓都事, 李在稼爲永平縣令, 宋秀國爲雲山郡守, 林一馥爲彦陽縣監, 朴鳳欽爲典籍, 金鳳梧爲兵曹正郞, 李載信爲宜寧縣監, 吳基默爲井邑縣監, 嚴錫明爲平澤縣監, 徐戴淳爲應敎, 鄭允容爲工曹佐郞, 朴宗有爲茂州府使, 金漢淳爲載寧郡守, 趙泳爲龍安縣監, 金章淳爲工曹正郞, 金大淵爲景慕宮令, 林尙沃爲龜城府使, 成元鎭爲鎭海縣監, 朴宗茂爲利原縣監, 李寅皐爲司僕正, 朴魯壽爲司饔僉正, 李憲猷爲掌樂僉正, 安孝述爲金海府使, 鮮于KC04310爲泰安郡守, 全國憲爲工曹正郞(주1), 鄭廈慶爲直講, 李亮楠爲西部令, 呂民爕爲永禧殿令, 趙雲程爲珍島郡守, 故判書朴宗輔贈左贊成例兼, 判義禁朴周壽考, 故學生鄭東樞贈吏參例兼, 故通德鄭師儉贈吏議, 以上前兵曹參判鄭禮容本生兩代移贈事, 承傳, 以李鏗爲監察, 李行敎驪州牧使, 金煐爲春川府使, 池濟穆爲鎭岑縣監, 金命爀爲高敞縣監, 成均博士白文鳳, 學正權炳益, 以上竝單付。
--------------------------------------------------------------------------------------
승정원일기 116책 (탈초본 2321책) 헌종 1년 8월 23일 기묘 33/33 기사 1835년 道光(淸/宣宗) 15년
○ 乙未八月二十三日辰時, 上御熙政堂。 勸講入侍時, 原任直閣徐俊輔, 參贊官金景善, 侍讀官沈宜升, 假注書李珽, 記注官全國憲, 別兼春秋朴齊憲各持小學第四卷, 以次進伏訖。 上曰, 史官分左右, 上讀前受音十遍訖。 俊輔讀自吾吳中宗族, 止安得不恤也, 仍讀奏釋義。 上讀新受音十遍訖, 命陳文義。 俊輔曰, 范文正公, 身爲宰相, 猶能均視宗族, 無間親疎, 設置義庄, 救恤饑寒, 此實以其祖宗之心爲心者也。 若夫君上之視民, 尤有大焉。 故堯典, 以敦敍九族, 至於平章百姓, 聖訓, 以親親, 至於仁民愛物矣。 今我殿下視八方黎庶, 當無異於祖宗之視子孫, 其所奠安愛恤之方, 固宜靡不用極。 伏願於此等文義, 深體而推廣之, 無論京外遠近, 均視吾民, 如祖宗之視子孫焉。 上曰, 玉堂陳之。 宜升曰, 閣臣所奏, 切實無餘, 伏願體念焉。 蓋宗族, 雖有親疎之別, 自祖宗視之, 則均是子孫, 臣庶雖有遠近之異, 自君上視之, 則同是民生, 今日八方之民, 殿下視之, 若祖宗之視子孫, 則必無捐瘠之患, 無有遠邇, 子惠困窮, 特垂一視之惠, 俾得均霑恩澤, 臣之所望也。 上曰, 參贊官陳之。 景善曰, 儒臣·閣臣, 已有所陳, 而大抵范公, 常時操心如此, 故爲時賢相, 功利及人, 所謂親親而仁民是也。 人臣尙如此, 況在君上之位, 先務惇親, 而推以及民, 有不可已。 伏願殿下, 於此等處, 深加究玩, 有以推廣, 寒者之不得衣, 饑者之不得食, 極加軫恤, 俾匹夫匹婦, 皆得其所, 區區伏望。 上掩卷。 仍命退, 諸臣以次退出。
--------------------------------------------------------------------------------------
승정원일기 120책 (탈초본 2464책) 헌종 13년 8월 22일 무진 7/17 기사 1847년 道光(淸/宣宗) 27년
○ 有政。 吏批, 行判書徐憙淳進, 參判李啓朝, 參議鄭㝡朝, 竝牌招不進, 同副承旨鄭基世進。 以李憲球爲大司憲, 姜𣹡爲大司諫, 洪翼燮爲執義, 沈承澤爲司諫, 兪錫煥·全國憲爲掌令(주2), 朴公鎭·金應夏爲持平, 金炳冀爲獻納, 柳興奎·蔡元默爲正言, 曺錫亨爲左尹, 尹致秀爲戶曹參議, 李祿在爲漢城庶尹。
(주1)공조정랑[ 工曹正郞 ]
조선시대 공조(工曹)에 두었던 정오품(正五品) 관직으로 정원은 3원이며, 그 중 1인은 무관(武官)에서 차출하였다. 위로 공조판서(工曹判書: 正二品), 공조참판(工曹參判: 從二品), 공조참의(工曹參議: 正三品 堂上官)가 각 1원씩 있고, 아래로 공조좌랑(工曹佐郞: 正六品) 3원이 있다.
공조정랑을 지낸 사람은 공조좌랑을 제수 받을 수 없었다. 정랑과 좌랑의 관장(管掌) 하에 실무를 맡아보는 영조사(營造司)·공야사(攻冶司)·산택사(山澤司)·수철색(水鐵色)·필묵색(筆墨色)·옹기색(瓮器色)·선척색(船隻色)·수포색(收布色)·세전색(稅錢色)·모의색(毛衣色) 등의 분장(分掌)이 있었다.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공조정랑 [工曹正郞] (관직명사전, 2011. 1. 7., 한국학중앙연구원)
(주2)장령[ 掌令 ]
조선시대 사헌부(司憲府)의 정사품(正四品) 관직으로 정원은 2원이다. 감찰(監察) 업무를 담당하였다.
1401년(태종 1)에 시사(侍史)를 고친 이름으로 장헌시사(掌憲侍史)라 하고, 대사헌(大司憲: 從二品) 이하 집의(執義: 從三品)·장령·지평(持平: 正五品)까지의 사헌부 소속의 관원을 통칭 대관(臺官)이라고 하였으며, 또 장령과 지평을 별칭 대장(臺長)이라고 하였으며, 학문(學問)과 덕행(德行)이 뛰어나 이조(吏曹)에서 대관(臺官)으로 추천(推薦)된 사람을 남대(南臺)라고 하였다.
모든 대관은 사헌부의 청환직(淸宦職)으로, 문과 급제자 중 청렴 강직하여 시류에 영합하지 않고, 옳다고 믿는 바를 굽히지 않고 직언할 수 있는 인물이어야 하므로, 승문원(承文院), 성균관(成均館), 홍문관(弘文館) 등을 거친 젊고 기개가 있는 인재들이 임명되었는데, 그만큼 직무가 막중하기 때문이었다. 이조(吏曹)의 전랑(銓郞)과 함께 전 조선시대의 사족사회(士族社會)의 틀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였다.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동의어 시사(侍史), 사헌시사(司憲侍史), 장헌시사(掌憲侍史), 대장(臺長)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장령 [掌令] (관직명사전, 2011. 1. 7., 한국학중앙연구원)
' 인물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승정원일기 고찰 [전봉현(全鳳顯)] (0) | 2016.06.15 |
---|---|
[스크랩] 승정원일기 고찰 [전세오(全世五)] (0) | 2016.06.13 |
[스크랩] 전치룡(全致龍) (0) | 2016.06.09 |
[스크랩] 임하군파 한글병용 족보제작[수단] 양식 [입력방법] (0) | 2016.06.07 |
[스크랩] 旌善全氏 臨河君派 宗中 族譜 수단 접수 양식 - 글쓰기로 들어가면 양식이 되어 있습니다. (0) | 2016.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