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6. 13. 08:07ㆍ 인물열전
승정원일기
영조 2년 병오(1726, 옹정4)
6월 25일(병술) 맑음
좌목 02-06-25[11]
이비와 병비의 관원 현황과 계 및 관직 제수 내용
정사가 있었다.
이비에, 판서 이병상(李秉常)은 나왔고, 참판 홍석보(洪錫輔)는 나왔고, 참의 신방(申昉)은 나왔고, 도승지 황귀하(黃龜河)는 나왔다.
병비에, 판서 김흥경(金興慶)은 나왔고, 참판 이유민(李裕民)은 나왔고, 참의 조명봉(趙鳴鳳)은 나왔고, 참지 김조택(金祖澤)은 지방에 있으면서 숙배(肅拜)하지 않았고, 좌승지 박성로(朴聖輅)는 나왔다.
이비가 이경(李坰)을 종묘 부봉사(宗廟副奉事)로, 이지웅(李枝雄)을 와서 별제(瓦署別提)로, 심유현(沈惟賢)을 종부시 주부(宗簿寺主簿)로, 고만갑(高萬甲)과 조영석(趙榮祏)을 감찰(監察)로, 이한겸(李漢謙)을 형조 정랑(刑曹正郞)으로, 유두기(兪斗基)를 형조 좌랑(刑曹佐郞)으로, 최제항(崔齊恒)을 직강(直講)으로, 정이주(鄭爾柱)를 장원서 별제(掌苑署別提)로 삼았다. 상서원 부직장 최상원(崔尙遠)과 평시서 직장 이수보(李秀輔)를 서로 바꾸었다. 한덕후(韓德厚)를 장령으로, 박사성(朴師聖)을 정언으로, 이도원(李度遠)을 문학으로 삼았다. 성균관 학유(成均館學諭)에 진재단(陳在摶)을 단부하였다. 조상명(趙尙命)을 예조 좌랑으로, 홍구(洪構)를 사예(司藝)로, 박태두(朴泰斗)와 윤우주(尹遇周)를 전적(典籍)으로, 윤취은(尹就殷)을 교검(校檢)으로, 송사윤(宋思胤)을 판교(判校)로, 정동리(鄭東里)와 이만욱(李萬郁)을 전적으로, 곽진곤(郭震坤)을 인의(引儀)로, 김가행(金可行)을 영휘전 영(永徽殿令)으로, 조영록(趙榮祿)을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로, 안수상(安壽相)을 선공감 주부(繕工監主簿)로, 신필창(辛必昌)을 장원서 별제로, 이광보(李光輔)를 전설서 별제(典設署別提)로, 황수정(黃壽鼎)과 김봉명(金鳳鳴)을 가인의(假引儀)로, 신후삼(愼後三)을 영해 부사(寧海府使)로, 김신겸(金信謙)을 내시교관(內侍敎官)으로, 원태규(元泰揆)를 장릉 참봉(莊陵參奉)으로, 민진항(閔鎭恒)을 중부 참봉(中部參奉)으로, 민제현(閔齊賢)을 남부 참봉(南部參奉)으로, 이규정(李奎挺)을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으로, 조명리(趙明履)를 내시교관으로, 김수집(金壽鏶)을 동몽 교관(童蒙敎官)으로, 서종협(徐宗浹)을 영희전 참봉(永禧殿參奉)으로, 권형(權浻)을 정릉 참봉(貞陵參奉)으로, 김선재(金善材)를 익릉 참봉(翼陵參奉)으로, 윤광주(尹光柱)를 혜릉 참봉(惠陵參奉)으로, 조각(趙愨)을 정릉 참봉(靖陵參奉)으로, 정윤헌(鄭胤献)을 명릉 참봉(明陵參奉)으로, 신진(申晉)을 돈녕 참봉(敦寧參奉)으로, 이자(李)를 군자감 정(軍資監正)으로, 권적(權)을 부교리로, 임화세(任華世)를 전적으로, 이희담(李喜聃)을 선공감 부정(繕工監副正)으로, 이한필(李漢弼)을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로 삼았다. 교서관 박사(校書館博士)에 김익침(金益忱)을, 양현고 주부(養賢庫主簿)에 최희도(崔熙道) 등을 단부하였다. 조지서 별제(造紙署別提) 윤경현(尹景賢)은 훈련원에서 거관(去官)하였고, 봉상시 주부(奉常寺主簿) 김몽좌(金夢佐)는 사관(四館)에서 거관하였다.
병비가 윤봉오(尹鳳五)를 위솔(衛率)로, 김몽형(金夢衡)을 훈련원 부정(訓鍊院副正)으로, 허빈(許賓)ㆍ윤취리(尹就履)를 도총부 도사(都摠府都事)로, 이명상(李命祥)ㆍ정항빈(鄭恒賓)ㆍ최홍서(崔弘瑞)를 훈련원 주부(訓鍊院主簿)로, 임경우(林擎宇)를 옥강 만호(玉江萬戶)로, 김광국(金光國)을 영달 만호(永達萬戶)로, 박지무(朴枝茂)를 무겸(武兼)으로, 김몽로(金夢魯)를 충청 수사(忠淸水使)로, 이태린(李兌麟)을 혜산 첨사(惠山僉使)로, 윤화정(尹和鼎)을 선전관으로, 김화제(金華濟)를 중추부 도사(中樞府都事)로, 이은좌(李殷佐)를 훈련원 판관으로, 이익해(李益海)를 안동 영장(安東營將)으로, 남연년(南延年)을 우림위장(羽林衛將)으로, 성이홍(成爾鴻)을 부솔(副率)로, 박형(朴珩)을 무겸으로, 박태주(朴泰柱)를 부장(部將)으로, 송내익(宋來翼)을 훈련원 부정으로, 이행상(李行相)ㆍ장이추(張爾樞)를 훈련원 주부로, 김기응(金祈應)을 수문장(守門將)으로, 정양빈(鄭暘賓)과 김주(金鑄)를 훈련원 주부로, 송필혼(宋必焜)을 도총부 도사로, 박필정(朴弼正)을 문겸(文兼)으로, 이침(李梫)을 북우후(北虞侯)로, 윤창은(尹昌殷)을 풍산 만호(豐山萬戶)로, 오진혁(吳震爀)을 재덕 만호(在德萬戶)로, 권혁(權爀)ㆍ김시철(金時哲)을 세마(洗馬)로, 남익령(南益齡)ㆍ이의상(李義祥)을 선전관으로,
전수홍(全壽弘)ㆍ정우(鄭瑀)ㆍ전세오(全世五)(주1)를 수문장으로, 신경류(申慶流)ㆍ이하상(李夏相)ㆍ정수하(鄭受河)를 무겸으로 삼았다. 평안 감영(平安監營) 중군(中軍)에 양헌익(楊憲益)을, 함경 감영(咸鏡監營) 중군에 남오석(南五錫) 등을 단부하였다. 강구 권관(江口權管)에 이권(李權)을, 쌍청 권관(雙靑權管)에 사상준(史尙俊)을, 양영만동 권관(梁永萬洞權管)에 박문빈(朴文彬)을, 건원 권관(乾原權管)에 임만화(林萬華)를, 황토기 권관(黃土歧權管)에 최두항(崔斗恒)을, 안원 권관(安原權管)에 김세억(金世億)을, 건천 권관(乾川權管)에 조익만(趙益萬)을, 소파아 권관(小坡兒權管)에 김정현(金鼎鉉)을, 묘동 권관(廟洞權管)에 윤성형(尹聖衡)을, 짓동 권관(嗭洞權管)에 손익조(孫益祚)를, 갈헌동 권관(乫軒洞權管)에 장우재(張遇載) 등을 단부하였다.
(주1)전세오(全世五)
[무과] 영조(英祖) 1년(1725) 을사(乙巳)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24위(36/309)
[인물요약]
자 상재(常哉)
생년 경진(庚辰) 1700년(숙종 26)
합격연령 26세
본관 전주(全州)
거주지 평양(平壤)
[이력사항]
선발인원 309명
전력 한량(閑良)
부모구존 영감하(永感下)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수천(全壽千)
관직 : 유학(幼學)
[생부]
성명 : 전수억(全壽億) (주2)
관직 : 급제(及第)
[안항:형]
성명 : 전세구(全世九) (주3)
성명 : 전세삼(全世三)
[안항:서제]
성명 : 전성오(全聖五)
[출전]
『을사성상즉위증광별시문무과방목(乙巳聖上卽位增廣別試文武科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B13LB-3])
(주2) 전수억(全壽億)
[무과] 숙종(肅宗) 20년(1694) 갑술(甲戌) 별시(別試) 병과(丙科) 91위(101/170)
[인물요약]
자 취로(就老)
생년 을미(乙未) 1655년(효종 6)
합격연령 40세
본관 전주(全州)
거주지 평양(平壤)
[이력사항]
선발인원 170명
전력 과의교위(果毅校尉)
부모구존 구경하(具慶下)
[가족사항]
[부]
성명 : 전득창(全得昌)
품계 : 절충장군(折衝將軍)
관직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안항:형]
성명 : 전수만(全壽萬)
성명 : 전수천(全壽千)
[출전]
『갑술별시용호방목(甲戌別試龍虎榜目)』(국사편찬위원회[MF0000008377])
(주3)전세구(全世九)
[무과] 숙종(肅宗) 43년(1717) 정유(丁酉)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45위(55/193)
[인물요약]
자 범재(範哉)
생년 무진(戊辰) 1688년(숙종 14)
합격연령 30세
본관 전주(全州)
거주지 평양(平壤)
[이력사항]
선발인원 193명
전력 한량(閑良)
부모구존 중경하(重慶下)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수억(全壽億)
관직 : 급제(及第)
[안항:제]
성명 : 전세오(全世五)
성명 : 전세삼(全世三)
[출전]
『정유식년문무과전시방(丁酉式年文武科殿試榜)』(국사편찬위원회[MF0000005282])
' 인물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정선전씨 임하군파 족보 수단 자료 제출양식 및 예시[지역종친회 제출용] (0) | 2016.06.15 |
---|---|
[스크랩] 승정원일기 고찰 [전봉현(全鳳顯)] (0) | 2016.06.15 |
[스크랩] 승정원일기 고찰 [전국헌(全國憲)] (0) | 2016.06.11 |
[스크랩] 전치룡(全致龍) (0) | 2016.06.09 |
[스크랩] 임하군파 한글병용 족보제작[수단] 양식 [입력방법] (0) | 2016.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