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상서좌복야 문경공 전보인 행적 [ 전씨 연원에 대한 3가지 ]

2018. 3. 18. 09:50 인물열전



상서좌복야 문경공 전보인 행적

[尙書左僕射 文敬公(1) 諱 輔仁 行蹟]


고려 성종 8(989) 己丑 4월에 왕이 하교하여 가로되

과인(寡人)이 학교를 숭상하고 그 곳에서 양성된 인재를 등용하여 나라를 다스리고자 하였다. 학자는 많으나 그 중에서 학업이 성숙된 사람이 극히 적어서 자나 깨나 우려하는 바가 적지 않았다.

이럴 때 각 지방에서 선발된 인사들을 보니 오직 태학조교로 있는 송승연과 남해도 나주목에 거주하는 경학박사 전보인이 공자님의 가르침에 부합되도록 정성을 다해서 학생들을 지도(유도)하였도다. 게으르지 않고 꾸준히 성의를 다해서 가르침은 과인의 경학을 권장하는 방침에 부합(附合)되느니라마땅히 표창하고 발탁하는 은전을 베풀되 특별 포상이 홍보되어서 백성들의 마음이 움직이도록 하여라.

송승연에게는 관직을 9등을 특진시켜 국자박사를 제수함과 동시에 붉은 비단옷 한 벌을 하사하고 전보인에게는 관복 한 벌과 쌀 50석을 하사하라.

이때부터 제자 10명 이하를 두고 있는 모든 문관이 그 임무가 만기가 되어 전근할 때 평가하여 포상과 나무람(褒貶)의 의견을 보고하도록 하였다.

비록 12경학박사라고 하여도 과거보러 가는 문생이 한 사람도 없으면, 비록 임기가 찼더라도 다시 유임시켜 효과를 내도록 책임지우고, 참작하여 관계(官階)를 줄 것이며, 이를 일정한 법식으로 삼도록 하라.”


高麗 成宗 八年己丑 四月 敎曰 予崇學校 欲理家邦 學者雖多 成人甚少 寢興軫慮 近覽有司所進 擧人名數 惟太學助敎 宋承演 南海道 羅州牧(2) 經學博士(3) 全輔仁 誘以能諄 合宣父(4)之意 誨而不倦 以副寡人勤學之心 宜加獎擢之恩 用示殊尤之寵 承演 可超九等 授國子博士 仍賜緋服一襲 輔仁 可賜公服一襲 米五十石 自今 凡文官 有弟子十人者 有司 於政滿轉遷於時 且秦褒貶 十二經學博士 無一門生赴試者 雖考滿留士 責其成效 量授官階 以爲常式


(1) 문경(文敬)

고려 무양후(武陽候) 윤적(尹勣), 좌복야 전보인(全輔仁), 전법총랑 전충경(全忠敬), 평장사 전연(全演), 중찬 허공(許珙), 정당문학 안석(安碩), 정당문학 안보(安輔), 청성군(淸城君) 한 수(韓脩), 봉산군(鳳山君) 강군보(姜君寶), 진현(進賢)제학 이강(李岡), 모관(某官) 강성민(姜性敏).조선 참찬 허시(許時), 좌의정 허조(許稠), 예조판서 김예몽(金禮蒙), 영의정 김수동(金壽童), 연창부원군(延昌府院君) 김감(金勘), 형조정랑 증영의정 김굉필(金宏弼), 찬성 김안국(金安國), 대사헌 증모관(某官) 유운(柳雲), 판중추부사 김집(金集), 집의 증영의정 윤선거(尹宣擧), 영의정 이여(李畬), 이조참판 증영의정 이세필(李世弼), 영의정 정호(鄭澔), 참찬 김간(金榦), 대제학 김유(金揉), 우찬성 박필주(朴弼周), 대사헌 증영의정 홍이상(洪履祥), 찬선(贊善) 증이조판서 김원행(金元行), 우찬성 송환기(宋煥箕), 좨주 이직보(李直輔), 증이조판서 유운룡(柳雲龍), 호조판서 이 태중(李台重), 한성판윤 송계간(宋啓榦), 증이조판서 이항(李恒), 대사헌 겸 좨주 홍직필(洪直弼), 교관 증이조판서 겸 좨주 김신겸(金信謙), 증대사헌 이봉상(李鳳祥), 증이조판서 겸 좨주 임성주(任聖周), 호조판서 증좌찬성 이 채(李采), 집의 증이조판서 성근묵(成近默), 호조참판 증이조판서 조병덕(趙秉悳), 대사헌 김낙현(金洛鉉), 우의정 신응조(申應朝), 증내부대신 이항로(李恒老), 영의정 이기(李芑).

[출처]

국역 증보문헌비고 번역문 > 증보문헌비고 제240- 직관고 27 > 시호 2 > 역대 명신 시호 1


(2 나주목[羅州牧]

전라 남도 나주시와 나주군의 일부를 포함하는 옛 행정 구역. 목사(牧使)가 관할하였음. 금성(錦城)통의(通義)라고도 함.

[네이버 지식백과] 나주목 [羅州牧]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 3. 3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3) 경학박사[經學博士]

요약

고려시대 지방 관민(官民)의 자제를 교육하기 위하여 둔 교수직.

987(성종 6) 경학박사를 12()에 파견하여 관민의 자제 중에서 우수한 사람을 가르치게 하였다.

경학박사로서 교육 성적이 좋은 사람에게는 후한 상을 베푸는 대신, 성적이 좋지 못하여 과거에 오르는 사람이 나오지 않으면 만기가 되어도 계속 유임시켰다.

[네이버 지식백과] 경학박사 [經學博士] (두산백과)


(4) 宣父(선부)

공자(孔子)를 높여 이르는 말.

()의 개원(開元) 27년에 문선왕(文宣王)이라고 추시(追諡)한 데서 온



전씨 연원에 대한 3가지


정사(正史) 기록에 의한 연원 (1029)

서기 989~2018

근거

고려사절요(전보인에 관한 기록)


명문(銘文)에 의거한 연원 (1,345)

서기 673(통일신라 문무왕 13)~2018

근거

국보 106호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

조성시기 673년은 추정된 것임


삼국사기에 기록된 간접증거에 의한 연원 (2,036)

서기 전 18~2018

근거

遂與烏干馬黎等 十臣南行 百姓從之者多에서 十臣에 시조 全聶이 포함되어 있음


◎ 연원에 대하여 추측한 것은 제 개인 의견입니다.


출처 : 전씨(全氏) 광장
글쓴이 : 전과웅 (55세/정선)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