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988)
-
왜 윤달은 결혼식을 꺼리는가?
윤달이 생겨날 때 옛 풍속에서는 평년보다 한 달이 더 있다 하여 공달이라 불렀으며 민간에서 윤달은 '썩은 달'이라고 하여, "하늘과 땅의 신(神)이 사람들에 대한 감시를 쉬는 기간으로 그때는 불경스러운 행동도 신의 벌을 피할 수 있다."라고 생각해 무슨 일을 해도 손을 타거나 부정을 타지 않는 달로 여겨 평상시 신의 노여움을 살까 두려워했던 일들을 거리낌 없이 하고는 했는데 주로 이사를 하거나 혼례를 올리고, 수의(壽衣)를 짓거나 조상의 묘를 이장하거나 단장하는 일이 많았다. 이는 고등학교 과학탐구 지구과학에도 나온다. 보통 이사하는 날은 손 없는 날로 음력으로 0, 9가 뒤에 붙는 날이다. 예)9일, 10, 19일, 20일, 29일, 30일인데 윤달에는 귀신이 아예 쉬는 듯하니 윤달 전체가 손이 없는 ..
2023.03.20 -
제사는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 것인가요? 아니면 ‘돌아가시기 전 날’(살아 계신 날)에 지내는 것인가요?
[질문] 제사는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 것인가요? 아니면 ‘돌아가시기 전 날’(살아 계신 날)에 지내는 것인가요? 예를 들어서 2021년 음력 10월 21일에 돌아가셨을 때는 구체적으로 언제 지내야 하는지 알려주십시오. [답변] ☞ 정 답 ① 하루의 첫출발 시간에 다른 일보다 먼저 정성을 드립니다. [새벽제사] 2022년 음력 10월 20일 23시(오후11시)부터 음력 10월 21일 01시(오전1시) 사이에 지냅니다. ---옛날에는 하루를 12시간으로 계산했기 때문에 하루의 시작시간은 자(子)시입니다. 자시(子時)를 요즈음의 24시간제로 환산하면 사망하시기 전날 23시부터 돌아가신 날 01시가 됩니다. 즉 10월20일 23시---10월21일 01시입니다. 요즘 상식으로는 10월20일 23시이지만 옛날 ..
2023.03.20 -
봉필 [ 蓬蓽 ]
한시어사전 봉필 [ 蓬蓽 ] 봉호(蓬戶, 쑥대로 이은 지붕)와 필문(蓽門, 사립문). 가난한 사람의 집. 자기집 겸칭. *蓬蓽生輝(봉필생휘) : 고귀한 사람이 가난한 집에 찾아와 영광됨. 不阻蓬蓽興 得兼梁甫吟 (부조봉필흥 득겸양보음 ; 봉필의 흥을 막지 못하나니, 제갈량諸葛亮의 양보음을 겸하여 가지네.) 蓬蓽門前一老松 百年春雨養髥龍 (봉필문전일로송 백년춘우양염룡 ; 우리 집 문 앞의 노송 한 그루, 백년토록 봄비 맞으며 구레나룻 난 용이 되었어라.)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봉필 [蓬蓽] (한시어사전, 2007. 7. 9., 전관수)
2023.01.30 -
제사를 지내는 시간
제사를 지내는 시간 번역문 【문】 ‘궐명(厥明)’과 ‘질명(質明)’……. 【답】 ‘궐명’의 ‘궐(厥)’ 자는 제삿날 전날 재계할 때를 기준으로 삼아서 말한 것이네. 그러므로 ‘궐(厥)’이라고 말한 것이니, 이는 ‘그다음 날[其明日]’이라고 말한 것과 같다네. ‘질명’의 ‘질(質)’ 자는 ‘정(定)’ 자와 같으니, 이는 틀림없이 다음 날이 됨을 질정(質定)한 것일세. 궐명이 질명보다 조금 빠르니, 궐명은 바로 첫닭이 울 때이고, 질명은 오경(五更)의 파루(罷漏)가 칠 때이네. 옛적에 여동래(呂東萊 여조겸(呂祖謙))의 집안은 오경에 제사를 거행하였다고 하네. 원문 厥明質明云云. 厥明之厥, 從前日齊戒時言之, 故曰厥, 如云其明日也. 質明之質, 猶定也, 蓋質定其必爲明日也. 厥明, 差早於質明, 厥明, 卽鷄初鳴時. ..
2023.01.26 -
조선시대 관리들의 행수법(行守法)과 가자법(加資法)
조선시대 관리들의 행수법(行守法)과 가자법(加資法) 1. 행수법(行守法) 1) 행수(行守) : 고려·조선시대 품계와 관직이 일치하지 않은 관원에게 주던 칭호. 관직이 품계보다 낮은 경우를‘行’, 관직이 품계보다 높은 경우를 ‘守’라 하였다. 직함을 쓸 때 ‘行’ 또는 ‘守’를 품계 뒤 관사명 앞에 쓰게 되어 있었다. 즉, 먼저 품계를 쓰고 다음에 ‘행’ 또는 ‘수’를 쓰고, 다음에 관사와 직사를 쓰게 되어 있었다. 품계와 관직을 일치시키는 것을 대품(對品)이라 했는데, 품계는 관직 세계의 위계(位階)로서 모든 관리에게 광범하게 주어졌다. 이와 달리, 관직은 일정한 수로 제한되어 있고 관리들의 능력에도 차이가 있으므로, 관직 제수에서 빠짐없이 대품을 시킨다는 것은 실제로 어려운 일이었다. 품계는 존비(尊卑..
2023.01.18 -
예단비 금액은 얼마가 적당한가?
A. 신부 측→신랑 측 1.예단비 예단비란 신부측에서 신랑측으로 보내는 예단을 현금으로 드리는 것입니다. ① 현금예단을 손으로 직접 드리지 않습니다. 먼저 바닥에 내려놓은 후, “ 저희 부모님의 마음입니다.”라는 말씀을 드리고, 시부모님 앞으로 밀어 드립니다. ② 현금예단 1,000만원 보낼 때 100만원 수표 7장 + 10만원 수표 20장 + 5만원권 20장 ③ 현금예단 500만원 보낼 때 100만원 수표 3장 + 10만원 수표 10장 + 5만원권 20장 ④ 시기 시간 결혼식 전 한두 달 전, 손 없는 날(음력으로 뒷자리가 9, 0인 날 즉 9일, 10일, 19일, 20일, 29일, 30일) 낮에 전달합니다. ⑤ 예단비의 봉투 입구를 봉하지 않는다. ⑥ 예단비의 적정한 금액은 ..
2023.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