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포(洛浦) 전극화(全克和)

2009. 12. 22. 13:48 인물열전

 낙포(洛浦)  전극화(全克和)


1648년(인조 26)∼1718년(숙종 44).

조선 후기 유학자·문신.

 자는 강숙(强叔), 호는 낙포(洛浦)이다.

본관은 정선(旌善),

출생지는 경상북도 대구(大邱)이다.


고조부는 전응삼(全應參), 증조부는 통례원인의(通禮院引儀) 전해(全海)이다.

조부인 선교랑(宣敎郞) 전시헌(全時憲)이 영천(榮川)에서 대구(大邱)로 이사 오면서부터 대구에 세거(世居)하게 되었다.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여 참봉(參奉)에 제수(除授)된 아버지 정봉(正峰) 전유장(全有章)과 영천이씨(永川李氏) 이휴운(李休運)의 딸인 어머니 사이에서 다섯 아들 중,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부친이 일찍이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과 교유한 탓에, 우암 선생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어렸을 때부터 비범하여 또래의 아이들과 달리 제의(祭儀)를 진설하며 놀았다고 한다. 자라며 학문을 익힐 때도 거침이 없었으며, 효우(孝友) 또한 돈독하였다.


 이에 그 학행(學行)이 알려지면서 관찰사(觀察使)의 추천을 받아 남부참봉(南部參奉)에 제수(除授)되었으며,

 이후 제용감봉사(濟用監奉事) 등을 역임하였다.


1702년(숙종 28) 영남(嶺南) 유생들과 더불어 김장생의 문묘(文廟) 배향을 청하기도 하였으나, 허락을 얻지는 못하였다.


1718년(숙종 44) 사망하여 옥포(玉浦) 송산(松山)에 묻혔다.

저서로는 문집인 《낙포유고(洛浦遺稿)》가 전한다.


[참고문헌]


洛浦遺稿


▶참봉

조선시대 문관(文官) 종구품(從九品) 최말단 관직이다.

종친부(宗親府), 돈령부(敦寧府), 봉상시(奉常寺), 사옹원(司饔院), 내의원(內醫院), 군기시(軍器寺), 군자감(軍資監), 관상감(觀象監), 전의감(典醫監), 사역원(司譯院), 선공감(繕工監), 사재감(司宰監), 전연사(典涓司), 소격서(昭格署), 사직서(社稷署), 제용감(濟用監), 전생서(典牲署), 오부(五部), 예빈시(禮賓寺), 혜민서(惠民署), 전옥서(典獄署), 활인서(活人署), 문소전(文昭殿), 연은전(延恩殿), 경기전(慶基殿), 영희전(永禧殿), 만녕전(萬寧殿), 안릉(安陵), 지릉(智陵), 숙릉(淑陵), 의릉(義陵), 순릉(純陵), 정릉(定陵), 화릉(和陵), 건원릉(健元陵), 제릉(齊陵), 정릉(貞陵), 후릉(厚陵), 헌릉(獻陵), 영릉(英陵), 현릉(顯陵), 장릉(莊陵), 사릉(思陵), 광릉(光陵), 경릉(敬陵), 창릉(昌陵), 공릉(恭陵), 선릉(宣陵), 순릉(順陵), 정릉(靖陵), 온릉(溫陵), 희릉(禧陵), 태릉(泰陵), 효릉(孝陵), 강릉(康陵), 목릉(穆陵), 장릉(章陵), 장릉(長陵), 휘릉(徽陵), 영릉(寧陵), 숭릉(崇陵), 명릉(明陵), 익릉(翼陵), 의릉(懿陵), 혜릉(惠陵), 원릉(元陵), 홍릉(弘陵), 영릉(永陵), 건릉(健陵), 인릉(仁陵), 수릉(綏陵), 경릉(景陵), 예릉(睿陵), 현륭원(顯隆園), 휘경원(徽慶園), 숭의전(崇義殿: 麗陵), 태일전(太一殿), 숭덕전(崇德殿), 숭인전(崇仁殿), 숭령전(崇靈殿) 등에 두었다.

전(殿)·묘(廟)·릉(陵)에는 1원씩, 숭의전에 2원, 숭덕전에 1원, 숭인전에 2원, 숭령전에 2원을 두었으며, 돈령부·봉상시·내의원·군기시에 각 1원씩, 예빈시·관상감·전의감·사역원·전옥서에 각 2원씩 두었다. 이 밖에 선공감, 사재감, 전연사, 소격서, 사직서, 제용감, 전생서, 오부, 태일전 등에는 중기 이후에 폐지하였다.


▶봉사

조선시대 동반(東班) 종팔품(從八品) 관직이다. 봉사(奉事)를 두었던 관아(官衙)와 정원은 다음과 같다.

돈령부(敦寧府) 1원, 봉상시(奉常寺) 1원, 사옹원(司饔院) 4원, 내의원(內醫院) 2원, 군기시(軍器寺) 1원, 군자감(軍資監) 1원, 관상감(觀象監) 2원, 전의감(典醫監) 1원, 사역원(司譯院) 1원, 훈련원(訓鍊院) 2원, 선공감(繕工監) 2원, 풍저창(豊儲倉) 1원, 광흥창(廣興倉) 1원, 사도시(司䆃寺) 1원, 사재감(司宰監) 1원, 전연사(典涓司) 1원, 종묘서(宗廟署) 1원, 경모궁(景慕宮) 1원, 제용감(濟用監) 1원, 평시서(平市署) 1원, 사온서(司醞署) 1원, 전생서(典牲署) 1원, 내자시(內資寺) 1원, 내섬시(內贍寺) 1원, 예빈시(禮賓寺) 1원, 의영고(義盈庫) 1원, 장흥고(長興庫) 1원, 장원서(掌苑署) 1원, 양현고(養賢庫) 1원, 혜민서(惠民署) 1원, 전옥서(典獄署) 1원, 숙릉(淑陵) 1원, 의릉(義陵) 1원, 순릉(純陵) 1원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