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8. 26. 14:23ㆍ 인물열전
승정원일기
고종 35년 무술(1898, 광무2)
11월 25일(갑술, 양력 1월 6일) 맑음
좌목 35-11-25[11]
중추원 의관에 박승조 등을 임용하였다
○ 중추원 의관에 박승조(朴承祖), 이건호(李建鎬), 홍재주(洪在疇), 유당(劉堂), 홍윤조(洪允祖), 최명하(崔命夏), 전병훈(全秉薰)을 임용하였다.
------------------------------------------------------------------------
고종 38년 신축(1901, 광무5)
2월 2일(무술, 양력 3월 21일) 맑음
좌목 38-02-02[05]
겸임 전라북도양무감리에 오횡묵을 임명하였다
○ 오횡묵(吳宖默)을 겸임 전라북도양무감리에 임명하고, 전병훈(全秉薰)을 전라남도양무감리(주1)에 임명하였다.
-----------------------------------------------------------------------
고종 41년 갑진(1904, 광무8)
3월 26일(을사, 양력 5월 11일) 비
좌목 41-03-26[06]
신태휴 등에게 가자하였다
○ 신태휴(申泰休), 권중석(權重奭), 엄준원(嚴俊源), 현영운(玄暎運)을 가의대부(嘉義大夫)로 올리고, 이병성(李秉性)을 정2품으로 올리고,
민병성(閔丙星), 유신혁(劉臣赫), 심정섭(沈定燮)을 종2품으로 올리고, 심의경(沈宜景), 심헌택(沈憲澤), 은규섭(殷奎燮), 심택진(沈宅鎭), 이용춘(李容春), 유치훈(兪致勛), 전하규(全河奎), 최영순(崔英淳), 박경호(朴慶浩), 안교민(安敎民), 전병훈(全秉薰), 서병규(徐丙珪), 장기원(張驥遠), 이해성(李海盛), 김노규(金魯奎)를 정3품으로 올리고,
홍순교(洪淳敎), 이형신(李衡信), 노상익(盧相翊), 이인하(李仁夏), 김기택(金基宅)을 정3품으로 올리고, 박용화(朴鏞和)를 가의대부로 올리고, 최병주(崔秉周), 이민화(李敏和)를 종2품으로 올리고, 최정헌(崔鼎獻), 김상기(金商基), 권재경(權在經)을 정3품으로 올리고, 홍종소(洪鍾韶), 이풍한(李豐漢), 노상익(盧相益), 강지흠(姜止欽), 정휴탁(鄭休鐸), 오하영(吳夏泳), 신형모(申珩模)를 정3품으로 올리고, 조범구(趙範九), 김성학(金性學), 김흥렬(金興烈), 윤태록(尹泰祿), 이석순(李錫淳), 김영길(金永吉), 현찬봉(玄燦鳳), 김순희(金淳喜), 이병의(李丙儀), 오인섭(吳麟燮), 이흥로(李興魯), 이병수(李秉秀), 은재길(殷在吉), 이호성(李鎬成), 최현순(崔顯舜), 진상목(秦尙穆), 예종석(芮宗錫), 이승옥(李承玉), 이원로(李源老), 이홍종(李弘鍾), 윤대영(尹大榮), 박우양(朴右陽)을 정3품으로 올리고, 이근교(李根喬), 이근홍(李根洪)을 종2품으로 올리고, 윤철규(尹喆圭)를 가의대부로 올렸다.
--------------------------------------------------------------------
고종 41년 갑진(1904, 광무8)
4월 21일(기사, 양력 6월 4일)
좌목 41-04-21[08]
안주 군수에 정3품 이설을 임용하였다
○ 정3품 이설(李偰)을 안주 군수(安州郡守)에 임용하고, 내부 참서관(內部參書官) 이근목(李根沐)을 용강 군수(龍岡郡守)에 임용하고, 정3품 조길하(趙吉夏)을 북청 군수(北靑郡守)에 임용하고, 정3품 전병훈(全秉薰)을 양덕 군수(陽德郡守)에 임용하고, 정3품 이상준(李相俊)을 개천 군수(价川郡守)에 임용하고, 정3품 남준원(南俊元)을 부령 군수(富寧郡守)에 임용하고, 6품 이종선(李鍾璿)을 장진 군수(長津郡守)에 임용하고, 6품 김병기(金炳夔)를 장련 군수(長連郡守)에 임용하고, 6품 박정빈(朴正彬)을 목천 군수(木川郡守)에 임용하고, 내부 주사(內部主事) 오재규(吳在珪)를 진보 군수(眞寶郡守)에 임용하고, 6품 서상면(徐相冕)을 청하 군수(淸河郡守)에 임용하고, 4품 조두환(曺斗煥)을 홍원 군수에 임용하고, 6품 정인희(鄭寅羲)를 만경 군수에 임용하고, 의관(議官) 백낙형(白樂亨)을 철산 군수(鐵山郡守)에 임용하고, 방한복(方漢復)을 전환국 주사(典圜局主事)에 임용하였다.
------------------------------------------------------------------------
고종 42년 을사(1905, 광무9)
1월 24일(정유, 양력 2월 27일) 맑음
좌목 42-01-24[10]
광주 부윤에 남원 군수 윤창근을 임용하였다
○ 남원 군수(南原郡守) 윤창근(尹昌根)을 광주 부윤(廣州府尹)에 임용하고, 영천 군수(榮川郡守) 이병묵(李丙默)을 오천 군수(鰲川郡守)에 임용하고, 정3품 하규일(河圭一)을 진안 군수(鎭安郡守)에 임용하고, 6품 이범철(李範喆)을 영양 군수(英陽郡守)에 임용하고, 종2품 윤상덕(尹相悳)을 용담 군수(龍潭郡守)에 임용하고, 정3품 오경조(吳景祚)를 서흥 군수(瑞興郡守)에 임용하고, 평안북도관찰부 주사 백낙삼(白樂三)을 선천 군수(宣川郡守)에 임용하고, 선산 군수(善山郡守) 송영대(宋榮大)를 안변 군수(安邊郡守)에 임용하고, 사천 군수(泗川郡守) 윤순백(尹順伯)을 진보 군수(眞寶郡守)에 임용하고, 자성 군수(慈城郡守) 구장회(具章會)를 양성 군수(陽城郡守)에 임용하고, 덕원항 경무관(德源港警務官) 박기호(朴淇昊)를 고원 군수(高原郡守)에 임용하고, 흥해 군수(興海郡守) 조중익(趙重翊)을 합천 군수(陜川郡守)에 임용하고, 비인 군수(庇仁郡守) 윤종(尹淙)을 웅천 군수(熊川郡守)에 임용하고, 석성 군수(石城郡守) 박희성(朴羲成)을 갑산 군수(甲山郡守)에 임용하고, 전 군수 이용구(李容九)를 양덕 군수(陽德郡守)에 임용하고, 정3품 임승학(林承學)을 기장 군수(機張郡守)에 임용하고, 연산 군수(連山郡守) 이중익(李重翼)을 제주 군수(濟州郡守)에 임용하고, 전 군수 채용신(蔡龍臣)을 정산 군수(定山郡守)에 임용하고, 전 군수 박용훈(朴龍勳)을 선산 군수(善山郡守)에 임용하고, 지평 군수(砥平郡守) 신태철(申泰哲)을 초계 군수에 임용하고, 시종원 우시어 민영각(閔泳恪)을 강령 군수(康翎郡守)에 임용하고, 정3품 윤찬(尹瓚)을 남원 군수에 임용하고, 전 군수 조두환(曺斗煥)을 위원 군수에 임용하고, 전 군수 오재규(吳在珪)를 사천 군수(泗川郡守)에 임용하고, 전 군수 권중은(權重殷)을 양산 군수에 임용하고, 정3품 홍세영(洪世泳)을 지도 군수(智島郡守)에 임용하고, 전 군수 신우균(申祐均)을 홍원 군수에 임용하고, 전 군수 이중철(李重哲)을 연산 군수에 임용하고, 전 군수 홍응조(洪應祖)를 평산 군수에 임용하고, 6품 윤동한(尹東翰)을 자성 군수에 임용하고, 전 군수 전병훈(全秉薰)을 부령 군수에 임용하고, 내부 주사 김영운(金泳運)을 영천 군수에 임용하고, 전 군수 이석호(李晳鎬)를 지평 군수에 임용하고, 6품 윤병구(尹秉求)를 비인 군수에 임용하고, 정3품 오근선(吳根善)을 석성 군수에 임용하고, 홍릉 사승(洪陵祀丞) 정숙조(鄭肅朝)를 흥해 군수에 임용하였다.
----------------------------------------------------------------------
(주1)양지아문[ 量地衙門 ]
정의
1898년 전국의 토지를 측량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서.
내용
관원으로는 칙임관인 총재관 3인, 부총재관 2인으로 부총재관은 각부의 협판과 동격이었다. 기사원(記事員)은 3인으로서 내부·탁지부·농상공부의 주임관 중 1인씩, 서기는 6인으로 내부·탁지부·농상공부의 판임관 중 2인씩 선임하였다.
고원(雇員)은 3인, 사령(使令)은 9인, 방직(房直)은 3인으로 3부에서 균등하게 선발되어 잡역을 맡았다. 각 도에서 측량사업에 종사하는 실무진은 이듬해 양무감리(量務監理)·양무위원·조사위원을 두기 전까지는 관찰사나 지방관이 선정하도록 하였다.
각 도의 양무감리는 해당 도내의 현직군수이거나, 군수가 아니더라도 양무에 밝은 자를 군직에 있더라도 차출하여 임명할 수 있었다. 양무위원은 군단위로 임명하여 처음에는 총재관의 관할 아래 있었으나 1900년부터는 양무감리의 감독하에 두었다.
조사위원은 양무위원과 학원(學員)이 작성한 양안(量案)을 검토 정정하였다. 기술진으로는 수기사(首技師) 1인, 기수보(技手補) 10인, 견습생 20인을 두었다. 수기사는 외국인 측량기사를 초청하도록 하여 미국인 크럼(Krumn, R.E.L., 巨廉)이 임명되었다.
견습생은 실습과정을 마치면 양전사무에 종사하여 통상 학원으로 불리었다. 양전사업은 1901년 전국적인 흉년으로 12월부터 중단되었고, 양지아문은 이듬해 3월 지계아문에 통합되었다. →지계아문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일성록(日省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광무년간(光武年間)의 양전(量田)·지계사업(地契事業)」(김용섭, 『아세아연구(亞細亞硏究)』 31, 1968)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양지아문 [量地衙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인물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선미근[ 白選美芹 ] (0) | 2015.08.30 |
---|---|
정신철학통편[ 精神哲學通編 ] (0) | 2015.08.28 |
압계서원 배향인물 오류 바로잡음[잘못된 표현 ‘김설(金渫)’→바른 표현 ‘전설(全渫)’] (0) | 2015.08.22 |
독립유공자 공훈록[ 전태선 ] (0) | 2015.08.20 |
독립운동가 전덕기[ 全德基 ] (0) | 2015.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