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國譯) 仁峰 全承業 先生 遺稿

2018. 1. 12. 10:02 인물열전



자료유형 : 국내서 단행본
소장분관 :  도서관 
서명 / 저자 :
(國譯) 仁峰 全承業 先生 遺稿 / 全承業 著 ; 全圭鎬 譯 ; 沃川金氏松亭公派宗會 編
개인저자 :  전승업
譯 전규호 
단체저자 :  옥천전씨송정공파종회 
발행사항 :  서울 : 더뮤직, 2007 
형태사항 :  180, 135 p. : 揷圖 ; 26 cm
ISBN :  9788995864630
청구기호 :  810.819 전57ㅇ
부가정보


인봉선생유고(仁峰先生遺稿) 제1권
1. 시(詩) = 13
중용(申庸)을 읽고 배우는 자에게 보이다 = 13
강선대(降仙臺)에서 월봉(月峰) 정홍량(鄭弘量)과 같이 서로 화답하다 = 13
차운(次韻)하여 붙이다. 월봉(月峰) 정홍량(鄭弘量) = 14
칠송(七松) 김경백(金敬白)과 같이 해읍(海邑)을 유람하다 = 14
다창위(茶槍慰) = 15
중봉(重峰) 선생이 선생에게 화답한 시 = 15
그 두 번째 시 = 16
그 세 번째 시 = 16
2. 서(書) = 17
중봉(重峰) 선생의 서신에 답하다 = 17
순찰사(巡察使) 윤선각(尹先覺)에게 보낸 서신 = 18
고청(孤靑) 서기(徐起)가 선생에게 보낸 서신 1 = 19
고청(孤靑) 서기(徐起)가 선생에게 보낸 서신 2 = 20
중봉(重峰) 선생이 선생에게 보낸 회신 = 20
중봉(重峰) 선생이 선생에게 보낸 서신 = 22
중봉(重峰) 선생이 선생에게 보낸 회신 = 24
중봉(重峰) 선생이 선생에게 보낸 회신 = 26
중봉(重峰) 선생이 선생에게 보낸 회신 = 27
3. 부(賦) = 29
기영담(耆英堂) = 29
황천탕(黃天蕩) = 32
소가 죽음을 두려워하다 = 37
공(功)이 우(禹)의 아래에 있지 않다 = 39
목탁(木鐸) = 42
다창위(茶槍慰) = 45
동쪽을 정벌함에 서이(西夷)가 원망하다 = 48
투저(投저) = 52
앞서 낚은 물고기를 위해 눈물을 흘리노라 = 55
밀리서 국성(國城)에 제사를 올린다 = 59
석경(石經) = 63
4. 책(策) = 68
문(問) = 68
답(答) = 69
5. 전(傳) = 81
십충노전(十忠奴傳) = 81
6. 만(輓) = 84
중봉 선생(重峰先生)을 애도하다. 1 = 84
중봉 선생(重峰先生)을 애도하다. 2 = 84
7. 제문(祭文) = 85
중봉 선생(重峰先生)을 애도하는 제문. 1 = 85
중봉 선생(重峰先生)을 애도하는 제문. 2 = 88
치소(癡笑) 김인해(金仁海)의 인봉 선생에 대한 제문 = 91
영모재(永慕齋) 박정로(朴廷老)의 인봉(仁峰) 선생에 대한 제문 = 93


인봉선생유고(仁峰先生遺稿) 제2권
1. 행록(行錄) = 97
사실(事實) = 97
행장(行狀) = 102
유사(遺事) = 125
2. 行蹟(행적) = 144
각패(覺齋) 정원건집(鄭元鍵集)에서 발췌한 내용 = 144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에서 발췌한 내용 = 146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서 발췌한 내용 = 148
〈상산고지(常山古誌)〉에서 발췌한 내용 = 149
김경백(金敬白)의 비언이조(秘言二條) = 149
고암(顧菴) 정립(鄭립)의 일기에서 발췌한 내용 = 153
영조조 무인(1758. 영조 34)에 조정에서 영(令)을 내려 충효열(忠孝烈)의 사적(事蹟)을 기록하여 올려라 명하였다. 그러므로 당시 군수 □□공이 초(抄)하여 올린 내용이다 = 154
3. 회인(懷人) 후율서원(後栗書院)의 사적(事蹟) = 159
4. 사우상량문(祠宇上樑文) = 161
5. 종유록(從遊錄) = 166
6. 문인록(門人錄) = 167
7. 송정선생택리도(松亭先生宅里圖) = 168
8. 송정선생대전도(松亭先生垈田圖) = 170
9. 인봉선생정사도(仁峰先生精舍圖) = 172
10. 발문(跋文) 1 = 174
11. 발문(跋文) 2 = 177
12. 원문


출처 : 한국학학술정보관 학국학전자도서관[한국학중앙연구원]



출처 : 전씨(全氏) 광장
글쓴이 : 전과웅 (55세/정선)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