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승정원일기 고찰 [ 전재대(全載大) ]

2018. 1. 14. 10:05 인물열전



승정원일기 425(탈초본 22) 숙종 31615일 정미 5/11 기사 1705康熙(/聖祖) 44

儒生殿講 全載大 등의 성적

今日儒生殿講[], 幼學全載大, 純通[], 崔憲柱, , 進士金錫九, 幼學吳日三, 閔鼎錫, , 生員李弘選,

 

승정원일기 425(탈초본 22) 숙종 31615일 정미 6/11 기사 1705康熙(/聖祖) 44

居首[]全載大 등에게 直赴會試 등을 시상하라는 비망기

備忘記, 居首幼學全載大, 直赴會試[], 之次幼學崔憲柱, 給二分, 進士金錫九, 幼學吳日三, 閔鼎錫, 各給一分


      

[]전강[殿講]

요약

조선시대 경서의 강독(講讀)을 권장하기 위하여 실시하던 시험.

성종 때 경학(經學)이 쇠퇴함을 걱정하여 매식년(式年) 문신 중 경서에 뛰어난 사람을 뽑아 이를 전경문신(專經文臣)이라 하고 가끔 어전에서 경서를 시험한 데서 비롯되었다. 처음 임강(臨講)으로 하다가 1731(영조 7)부터 배강(背講:책을 임금이나 스승 앞에 펼쳐놓고 본인은 돌아앉아 외는 일)으로 규정하였다.

그후 이 취지를 확대시켜 성균관과 4(四學)의 도기유생(到記儒生:성균관 학생으로 출석을 적는 식당에 규정대로 출석한 자), 즉 시거유생(時居儒生)에게 적용하여 매년 2,4,6,8,10,1216일에 궁중에 모아 강경시험(講經試驗)을 실시하였다. 그 성적이 '순통(純通)'이면 문과복시(覆試)에 직부(直赴)할 자격을 주었고, 임금이 친히 고강(考講)하였을 경우 전시(殿試)에 직부하기도 하였으며 또 급분(給分)도 하였다.

인원은 일정하지 않았으나 3명을 넘지 않았으며, 처음에는 경서 중의 과목을 시험하다가 뒤에는 삼경(三經:··易經)을 시험하였고 응시자의 자격도 점차 확대되어 생원·진사·4학재임(四學齋任) 및 명문의 자제까지 응시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전강 [殿講] (두산백과)

 

[]순통[純通]

조선 시대 강경(講經) 시험을 볼 때, 대체로 순()()()()()의 다섯 등급 혹은 순통(純通)순조(純粗)순략(純略)불통(不通)의 네 등급으로 성적을 내었는데 순통(純通)은 이 가운데 성적이 우수한 자를 말함. 전강(殿講) 등에서 순통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지필묵이나 직부전시(直赴殿試) 등의 특전을 주었음

[네이버 지식백과] 순통 [純通]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 3. 3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居首

첫째자리를 차지하다. 일등이다.

 

[] 직부회시[直赴會試]

조선 시대에 전강(殿講)절일제(節日製)황감제(黃柑製)응제(應製)통독(通讀)외방 별과(外方別科) 등에 합격한 사람이 곧바로 회시(會試)에 응할 수 있는 자격을 얻던 일. 회시는 과거의 초시 급제자가 서울에 모여서 다시 보는 복시(覆試). [참고어]직부(直赴).

[네이버 지식백과] 직부회시 [直赴會試]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 3. 3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출처 : 전씨(全氏) 광장
글쓴이 : 전과웅 (55세/정선)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