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탁계선조 묘제 홀문(濯溪先祖 墓祭 笏文)

2018. 7. 16. 16:45 인물열전

탁계선조 묘제 홀문(濯溪先祖 墓祭 笏文)

 

집례(執禮)는 분방(分榜)된 헌관이하(獻官以下) 제집사(諸執事)를 호명(呼名)하시오

 

집례(執禮)는 선취(先就)하여 배위(拜位) 재배(再拜)하시오

 

알자(謁者)는 축관(祝官) 및 제집사(諸執事)를 관세위(盥洗位)에 나아가

세수(洗手)토록 인도(引導)하시오

 

각자(各者) 원위치(元位置)에 돌아가시오.

 

헌관(獻官) 이하(以下) () 재위자(在位者)는 열립(列立)하여 배위(拜位) 하시오.

 

알자(謁者)는 초헌관(初獻官) 앞으로 나아가 읍()하고 예행(禮行)을 고()하시오.

 

알자(謁者)는 초헌관(初獻官)을 모시고 점시(點視) 진설(陳設) 하시오.

다시 원위치(元位置)에 돌아가시오.

 

헌관(獻官) 이하(以下) () 재위자(在位者)는 모두 재배(再拜) 들이시오.

() () () () 평신(平身)

 

알자(謁者)는 초헌관(初獻官)을 관세위(盥洗位)에 나아가 세수(洗手)토록 인도(引導)하시오.

 

헌관(獻官)은 묘전(墓前)에 나아가 정좌(正坐) 하시오.

 

헌관(獻官)은 세 번 향() 올리시오.

 

헌관(獻官)은 재배(再拜)를 드리고 다시 정좌(正坐)하시오

 

집사자(執事者)는 잔반(盞盤)을 받들어 헌관(獻官)에게 드리고 헌관(獻官)은 잔반(盞盤)을 받으시오.

 

집사자(執事者)는 제주(祭酒)를 잔()에 따르시오.

 

헌관(獻官)은 잔반(盞盤)을 받들어 삼제(三祭) 모상(茅上)하시오.

 

헌관(獻官)은 잔반(盞盤)을 받들어 집사자(執事者)에게 드리고 집사자(執事者)는 잔반(盞盤)을 받들어 원래 자리에 드리시오.

 

배위(配位) 동시(同時) 세작(洗爵) 하시오.

 

헌관(獻官)은 재배(再拜)를 드리고 다시 정좌(正坐)하시오.

 

집사자(執事者)는 잔반(盞盤)을 받들어 헌관(獻官)에게 드리고 헌관(獻官)

진반(盞盤)을 받으세요.

 

집사자(執事者)는 제주(祭酒)를 잔()에 따르시오.

 

헌관(獻官)은 잔반(盞盤)을 받들어 조금 모상(茅上)하고 묘위전(墓位前)에 올

리면 집사자(執事者)는 잔반(盞盤)을 받아 원위치(元位置)에 드리시오.

 

배위(配位) 동시(同時) 헌작(獻爵)하시오.

 

집사자(執事者)는 정저(正箸)를 하시오.

 

헌관(獻官)은 조금 물러서서 부복(俯伏)하시오.

 

축관(祝官)은 헌관(獻官)의 좌변(左便)에서 동향(東向) 정좌(正坐)하여 축문(祝文)을 읽으시오.

 

헌관(獻官)은 일어나서 소퇴(小退)하고 재배(再拜)하시오.

 

헌관(獻官)은 인강(引降) 복위(復位)하시오.

 

알자(謁者)는 아헌관(亞獻官)을 관세위(盥洗位)에 나아가 세수(洗手)토록

인도(引導)하시오.

 

헌관(獻官)은 묘전(墓前)에 나아가 정좌(正坐)하시오.

 

집사자(執事者)는 잔반(盞盤)을 받들어 헌관(獻官)에게 드리고 헌관(獻官)

잔반(盞盤)을 받으시오.

 

집사자(執事者)는 제주(祭酒)를 잔()에 따르시오.

 

헌관(獻官)은 잔반(盞盤)을 받들어 집사자(執事者)에게 드리고 집사자(執事

)는 잔반(盞盤)을 받들어 원래 자리에 드리시오

 

배위(配位) 동시(同時) 헌작(獻爵) 하시오.

 

집사자(執事者)는 갱() 정저(正箸) 하시오.

 

헌관(獻官)은 일어나서 소퇴(小退)하고 재배(再拜)하시오.

 

헌관(獻官)은 인강(引降) 복위(復位) 하시오.

 

알자(謁者)는 종헌관(終獻官)을 관세위(盥洗位)에 나아가 세수(洗手)토록

인도(引導)하시오.

 

헌관(獻官)은 묘전(墓前)에 나아가 정좌(正坐)하시오.

 

집사자(執事者)는 잔반(盞盤)을 받들어 헌관(獻官)에게 드리고 헌관(獻官)

잔반(盞盤)을 받으시오.

 

집사자(執事者)는 제주(祭酒)를 잔()에 따르시오.

 

헌관(獻官)은 잔반(盞盤)을 받들어 집사자(執事者)에게 드리고 집사자(執事

)는 잔반(盞盤)을 받들어 원래 자리에 드리시오

 

배위(配位) 동시(同時) 헌작(獻爵) 하시오.

 

집사자(執事者)는 갱() 정저(正箸) 하시오.

 

헌관(獻官)은 일어나서 소퇴(小退)하고 재배(再拜)하시오.

 

헌관(獻官)은 인강(引降) 복위(復位) 하시오.

 

헌관(獻官) 이하(以下) 제위자(諸位者) 국궁(鞠躬) 숙사(肅俟)

 

평신(平身)

 

축관(祝官)은 이성(利成)을 고() 하시오.

 

집사자(執事者)는 하저(下箸) 하시오.

 

헌관(獻官) 이하(以下) 제위자(諸位者)는 모두 재배(再拜) 하시오.

() () () () 평신(平身)

 

알자(謁者)는 초헌관(初獻官)이 음복위(飮福位)에 나아가 정좌(正坐)토록

인도(引導)하시오

 

졸작(卒酌)

 

축관(祝官)은 분() 축문(祝文) 하시오.

 

예필(禮畢)



첨부파일 탁계선조 묘제홀문.hwp


[출처  http://cafe.daum.net/alljeonc/Io3J/18]


출처 : 정선전씨 강릉지구 종친회
글쓴이 : 한강의 언덕(전과웅)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