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8. 16. 19:35ㆍ 인물열전
σ 濯溪 全 致 遠
① 長子 睡足堂 全 雨 公
② 孫子 斗 岩 全 滎 公 成均進士
③ 曾孫 洛 陰 全氣正 公 成均進士
新 溪 全氣中 公 成均進士
④ 高孫 淸 雲 全聖範 公
σ 전치원(全致遠) (1527~1596)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의병장. 본관은 완산(完山). 황강(黃江) 이희안(李希顔)과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 이희안을 위하여 청계서원(淸溪書院)을 창건했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초계(草溪)에서 의병으로 활동함.
① 전우(全雨)
1548년(명종 3)∼1616년(광해군 8). 조선 중기 의병‧유학자. 자는 시화(時化)이고, 호는 수족당(睡足堂)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경상남도 합천(陜川)이다.
부친은 탁계(濯溪) 전치원(全致遠)이다.
어려서부터 효성스러웠고 순진하였으며, 문장과 서예에 뛰어났다. 제갈공명의 ‘초당서수족(草堂書睡足)’에서 편액명을 따 ‘수족당(睡足堂)’이란 정자를 짓고 산수 속을 소요하였다.
경정(敬亭) 이민성(李民宬)‧자암(紫巖) 이민환(李民寏)‧부사(浮査) 성여신(成汝信)‧무민당(无悶堂) 박연(朴絪)‧오봉(五峰) 이호민(李好閔)‧대암(大庵) 박성(朴惺) 등과 같은 이름난 선비들과 교유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부친 전치원을 도와 의병을 일으켜 왜병과 싸운 공으로 사축서별제(司畜署別提)와 중림도찰방(重林道察訪)에 제수되었으며, 사후에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에 추증되었다
② 전형(全滎)
[진사시] 인조(仁祖) 26년(1648) 무자(戊子)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70위(100/100)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우(全雨)
품계 : 봉훈랑(奉訓郞)
관직 : 행중림도찰방(行重林道察訪)
③-1 전기정(全氣正)
[진사시] 현종(顯宗) 1년(1660)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69위(100/100)
[가족사항]
[부]
성명 : 전형(全滎)[進]
관직 : 진사(進士)
③-2 전기중(全氣中)
[진사시] 효종(孝宗) 8년(1657) 정유(丁酉)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70위(100/100)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창(全昶)
관직 : 학생(學生)
[생부]
성명 : 전형(全滎)[進]
과거 : 진사(進士)
④ 전성범(全聖範)
[생원시] 숙종(肅宗) 41년(1715) 을미(乙未)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40위(70/100)
[가족사항]
[부]
성명 : 전기일(全氣一)
관직 : 유학(幼學)
' 인물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문천군수 전호 묘비문 [通政大夫 行 文川郡守 旌善全公 諱 瑚 墓碑文] (0) | 2018.08.17 |
---|---|
[스크랩] 서예가 전형(全滎) (0) | 2018.08.16 |
[스크랩] 서우[曙宇] 전병훈[全秉薰] (0) | 2018.08.15 |
[스크랩] 연원직지 제1권 / 출강록(出疆錄) [ 전도해(全道海)] (0) | 2018.08.13 |
[스크랩] 의병장 전기홍[全其弘] (0) | 2018.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