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2)
-
전통 혼례에서의 함
전통 혼례에서의 함 [ 2010년 2월 ] 함은 본래 자신이 아끼던 물건을 사랑하는 이에게 전하며 서로가 혼인할 것을 약속하던 풍습에서 유래했다. 고대에는 소중한 물건을 전하던 함이 조선시대에 주자가례가 전래 되면서 신부댁에 혼인을 허락해준 데에 대한 감사의 의미를 담기 시작했다. 1 떡은 모두 동..
2010.02.06 -
작지만 큰 의미를 지닌 상자, 함
작지만 큰 의미를 지닌 상자, 함 [ 2009년 8월 ] 함은 단순히 신랑 집에서 신부에게 보내는 예물 상자가 아니다. 작은 상자 안에 담긴 혼서지가 결혼의 모든 것을 대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1 전통 함 대신 보내는 여행용가방, 트롤리 컬렉션. 총 9가지의 다양한 컬러와 기내반입이 가능한 두 가지 사이즈..
2009.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