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435)
-
제사 지내는 법
♣. 제사는 왜 지내는가 어떤 종교는 제사를 지내라하고 어떤 종교는 지내지 말라 한다. 종교관에 따라 지내고 안 지내는 것을 누가 뭐라 하겠는가? 그러나 종교에서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는 것은 “다른 종교의 신을 섬기지 말라”는 뜻이지, 조상님을 숭배하지 말라는 것이 아닌 ..
2008.05.18 -
나이와 기념일
♡ 나이와 기념일 나이가 많은 웃어른의 경우는 생신(生辰)이라 하여 높여 말한다. 생일이 되면 세상에 태어났다는 것과 일생 동안의 건강·무사·장수·영화를 축원하며, 또한 축복을 받는 기념적인 행사가 크든 작든 따른다. 그런데 생일을 기념하는 일은 시간 관념이 발달한 민족이 아니면 거의 없..
2008.05.17 -
조선 3등 호성공신 사복시 판관 전 룡 이야기
42세. 충근정량 호성공신 석릉군 (忠勤貞亮 扈聖功臣 石陵君) 전 룡( 全 龍) 자는 여견(汝見)이시고 호는 석천(石泉)이시다. 충근정량 호성공신 증 자헌대부 형조판서 (忠勤貞亮 扈聖功臣 贈 資憲大夫 刑曹判書)이시다. 석릉군(石陵君)으로 봉(封) 받으셨다. 조선 선조때 3등 호성공신입니다..
2008.05.10 -
정선전씨 고려 개국 공신 충열공 전이갑 장군 이야기
16세. 통합삼한개국공신 충열공 (統合三韓開國功臣 忠烈公) 전이갑(全以甲) 고려시대에 통합삼한개국공신(統合三韓開國功臣) 입니다. 부인은 한국부인(韓國夫人) 기씨(箕氏)이시다. 묘소는 경기도 장서군에 있습니다. 왕 건 드라마에도 나옵니다. 고려개국 삼충공(三忠公)인 전이갑(全以甲), 전락(全樂)등 3형제를 빼놓을 수 없다. 이들은 후삼국 통일의 야망을 키우던 왕건이 팔공산 오동숲에서 후백제 견훤의 군사와 일대 접전을 벌이다 적에게 포위를 당하자 전이갑이 왕건으로 가장하여 적의 주력부대를 유인하여 왕건을 탈출시키고 3형제는 최후까지 싸우다 장렬하게 전사 한다. 전공(全公)은 휘(諱)는 이갑(以甲)이요. 자는 자경(子經), 장호(腸號)는 도원(挑源)으로 정선사람이다. 정선전씨 중시조 정선군(中始祖 旌善郡) 선..
2008.05.10 -
정선전씨 시조 백제 개국 공신 전 섭 이야기
1세. 백제 개국 공신 환성군 (百濟 開國 功臣 歡城君) 전 섭(全 聶) 시조 全聶은 백제 개국공신이시다. 公은 고구려 동명왕의 세째 아들 온조(溫祚)가 부여에 도읍을 정하고 백제를 건국할때 전섭(全聶), 오간(烏干), 마려(馬黎), 을음(乙音), 조성(趙成), 해루(解婁), 흘우(屹于), 곽충(郭忠), ..
2008.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