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연합뉴스) 황희경 기자 = 경남 통영을 무대로 활동하던 원로 화가 전혁림 화백이 25일 오후 6시50분 통영의 한 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4세.
1916년 통영에서 태어난 전 화백은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 상황 탓에 미술을 체계적으로 배우지 못하고 독학으로 그림을 익혔다.
그러나 1949년 제1회 국전 입선을 시작으로 제2회 국전에서 문교부장관상, 제4회 국전에서 특선을 하면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고, 이후 통영과 부산 등 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시인 김춘수, 음악가 윤이상 등 통영 출신 예술인과도 교분을 나눴다.
2000년대 들어 재조명되기 시작해 2002년에는 국립현대미술관의 '올해의 작가'로 선정돼 대규모 전시회를 열었고 2005년에는 경기 용인의 이영미술관에서 '구십, 아직은 젊다' 전을 열어 신작을 선보이는 등 말년에도 활발한 작품 활동을 했다.
![]() |
전혁림 화백의 작품 `사원'(연합뉴스 자료사진) |
2005년 전시 때는 노무현 당시 대통령이 전시 관람 후 1천호(가로 7m, 세로 2.8m) 크기의 '통영항' 그림을 구입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 그림은 노 대통령 재직 시절 외국 귀빈들을 접대하는 청와대 인왕홀을 장식했다.
가장 최근에는 지난 4월 서울 인사아트센터에서 대를 이어 화가로 활동하는 아들 전영근(52) 화백과 함께 '아버지와 아들, 동행 53년'이란 이름으로 부자전(父子展)을 열기도 했다.
'통영의 화가', '바다의 화가' 등의 별칭을 지닌 고인은 고향 통영의 바다 풍경부터 목기, 보자기, 나무오리 등의 기물을 해체해 재구성한 추상화까지 구상과 추상을 오가는 독특한 작업세계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도해의 바다와 하늘빛을 담은 듯한 특유의 짙은 청색과 한국의 미감을 담은 오방색을 자유롭게 사용한 그를 두고 미술평론가 이구열은 "총체적 한국미와 역사적 전통미를 진정한 애착으로 표현한 작가"로 평하기도 했다.
20여 년간 전 화백과 교류한 이영미술관의 김이환 관장은 "전 화백은 초기에는 한국 앵포르멜의 선두주자였으며 이후 구상과 추상을 넘나들었다"며 "박생광이 동양화 기법으로 우리 색을 표현했다면 전 화백은 서양화 기법으로 우리 색을 표현한 작가"라고 평가했다.
![]() |
전혁림 화백(연합뉴스 자료사진) |
2003년 5월에는 고향 통영 봉평동에 작가의 이름을 딴 미술관이 건립돼 작품 100여 점이 상설 전시되고 있다.
유족으로는 아들 영근씨를 비롯한 1남1녀가 있다. 빈소는 통영 숭례관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29일 오전 11시. 장지는 고성 이화공원이다. ☎055-643-1024.
zitrone@yna.co.kr